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andscape Design and Trends338

[정원식물 50선] 카밀레(저먼 캐모마일) : 향기로 치유하는 정원의 허브 카밀레(저먼 캐모마일)는 향기로운 꽃과 약용 효과, 밀원기능을 두루 갖춘 다기능 정원 허브입니다. 꿀벌을 불러들이는 생태정원식물로서, 그리고 사람에게 치유를 전하는 향기 허브로서, 정원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품고 있는 카밀레의 특징과 활용법을 깊이 있게 소개합니다. 사과향 가득한 허브정원 만들기, 카밀레(저먼 캐모마일)의 모든 것 카밀레(저먼 캐모마일)란?카밀레(Chamomile)는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사용되어 온 유서 깊은 허브로, 그리스어 chamai("땅") + melon("사과")에서 유래한 이름처럼 사과 향이 나는 땅 위의 식물을 의미한다.현대 정원에서 널리 사용되는 ‘카밀레’는 주로 저먼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la)을 지칭하며, 때로는 로만 캐모마일(Chamaemelum.. 2025. 7. 7.
[정원식물 50선] 꽃고비, 그늘 속 정원을 물들이는 잎의 미학 꽃고비는 신엽의 붉은빛과 부드러운 선형으로 정원의 음지에 생명을 불어넣는 대표적인 양치식물이다. 낮은 관리 부담, 강한 생존력, 사계절 경관 효과까지 갖춘 꽃고비의 정원 활용법을 소개한다. 정원에 자연미를 더하는 양치식물, 꽃고비 식재 가이드 꽃고비란?국명 : 꽃고비학명 : Dryopteris erythrosora과명 : 면마과 (Dryopteridaceae)원산지 : 동아시아 (한국, 일본, 중국 등)형태 : 상록성 또는 반상록성 양치식물꽃고비는 꽃이 피지 않는 양치식물(fern)이지만, 봄에 돋아나는 신엽은 붉은빛이 돌고 시간이 지나며 점차 연두~녹색으로 변해 잎 자체가 꽃처럼 장식적인 식물이다.또한 땅을 따라 자라는 형태 덕분에 음지 정원에서 그라운드 커버 역할까지 수행한다. 꽃말과 상징성꽃고.. 2025. 7. 6.
[정원식물 50선] 붉은숫잔대 : 물가를 물들이는 분홍빛 야생화 붉은숫잔대는 수변 정원과 생태하천 조성에 필수적인 자생 야생화입니다. 긴 개화기간, 강한 번식력, 그리고 분홍색 꽃의 아름다움까지 갖춘 이 식물은 정원에서 생물다양성과 시각미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최고의 수변식물입니다. 정원의 수변을 완성하는 자생 식물, 숫잔대의 모든 것 붉은숫잔대란?국명 : 붉은숫잔대 (통칭 숫잔대 포함)학명 : Lythrum anceps (syn. Lythrum salicaria L.)과명 : 부처꽃과 (Lythraceae)원산지 :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 지역형태 : 다년생 초본 (습지식물)붉은숫잔대는 이름처럼 붉은빛(분홍~자주)의 꽃을 피우며, 수변, 논둑, 하천변 등 습윤한 장소에서 자생하는 대표적인 한국의 야생화다.여름철 장마 기간에도 흔들림 없이 꽃을 피우며, 줄기.. 2025. 7. 5.
[정원식물 50선] 담곽향 : 향으로 공간을 채우는 그늘 정원의 자생 초본 은은한 향기와 연보랏빛 꽃이 매력적인 담곽향은 음지에서도 잘 자라는 자생식물이다. 자연주의 정원, 향기 식재, 생태 경계에 적합한 숙근초로 활용법과 꽃말까지 정리했다. 담곽향, 그늘을 향으로 채우는 자생식물, 정원의 부드러운 흐름 한여름 그늘 아래,연보랏빛 입술 모양의 꽃들이 가느다란 줄기 끝에서 물결치듯 피어난다.향기와 색, 그리고 자연스러운 줄기의 흐름까지…오늘 소개할 식물은 한국 자생 초본 중에서도 정원 식재로 차분한 감성과 생태적 구조를 더해주는 식물, 담곽향이다. 담곽향의 기본 정보학명 : Isodon inflexus과명 : 꿀풀과 (Lamiaceae)형태 : 여러해살이풀 / 숙근초 / 자생 초본분포 : 한국 전역, 중국, 일본 등 / 국내 숲 가장자리 자생크기 : 높이 약 50~100cm /.. 2025. 7. 3.
[정원식물 50선] 은빛꼬리풀 : 바람을 따라 흐르는 은빛 물결 은빛꼬리풀은 여름 정원에 흐름과 볼륨을 더하는 대형 초본이다. 은은한 백색 꽃차례와 부드러운 수형으로 자연주의 정원에 어울리며, 생육환경, 활용법, 꽃말까지 완전 정리한 가이드! 정원의 바람을 디자인하다, 은빛꼬리풀의 사계절 활용법 하늘하늘 흔들리는 이삭처럼 긴 꽃차례, 햇살을 머금은 듯한 은빛 잎맥, 그리고 바람이 지날 때마다 파도치듯 움직이는 유려한 실루엣.오늘 소개할 식물은 바로 정원의 공간감과 움직임을 만들어주는 은빛꼬리풀이다.자연주의 정원에서 특히 사랑받는 이 식물은 가벼움과 고요함을 동시에 지닌 독특한 분위기의 초본류로, 풍경을 부드럽게 흐르게 만드는 식물적 장치로 활용된다. 은빛꼬리풀의 기본 정보학명 : Persicaria polymorpha (구명 : Polygonum polymorphum.. 2025. 7. 2.
전북도 새만금 전략 수정, K-정원과 생태가 관광의 중심이 되다 새만금이 기존의 인프라 위주 관광 개발 전략을 버리고, 자연 생태와 콘텐츠가 결합된 ‘가든형 테마파크’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다. 국립새만금수목원을 중심으로 한 생태관광의 미래 전략과 기존 개발 방식과의 차이를 짚어본다. 자연과 콘텐츠의 결합, 새만금 관광 전략이 달라진다인프라 중심에서 생태·가든형 테마파크로의 대전환 프롤로그 : 인프라만으론 부족했다새만금은 그동안 ‘국가적 대개발 프로젝트’로 불리며 인프라 구축에 역점을 둬 왔다. 방조제, 항만, 도로, 산업단지 등 대규모 시설 위주의 개발이 중심이었다. 그러나 수십 조 원이 투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관광지로서의 인지도는 미미했다. 외형적 인프라가 완성되었음에도 체류형 관광객 유입은 저조했고, 새만금이 가진 자연적 잠재력은 충분히 활용되지 못했다.이에 따.. 2025. 7. 1.
[정원식물 50선] 아르메리아 : 바위 위에 핀 분홍 구슬, 낮은 정원을 위한 완벽한 선택 둥근 꽃차례가 돋보이는 아르메리아는 내건성 강한 숙근초로, 바위정원·경계식재·드라이가든에 적합한 정원식물이다. 생육조건부터 활용법, 꽃말까지 완벽 정리! 아르메리아, 바위 위에 핀 분홍 구슬, 낮은 정원을 위한 완벽한 선택 정원에 작고 단정한 꽃이 필요할 때, 그리고 바람에 쓰러지지 않으면서 땅을 풍성하게 덮어주는 식물이 필요할 때,정원 디자이너들이 즐겨 찾는 한 송이의 식물이 있다.둥글고 단단한 핑크색 꽃이 마치 구슬처럼 떠 있는 모습.바로 오늘의 주인공, 아르메리아(Armeria)이다. 아르메리아의 기본 정보학명 : Armeria maritima과명 : 석죽과 (Plumbaginaceae)형태 : 여러해살이풀 / 숙근초 / 잎장식 겸용 초본원산지 : 유럽 서부 해안, 북극권 일부크기 : 높이 약 1.. 2025. 7. 1.
사톨로그와 연선마루고토호텔의 로컬 리디자인 전략 일본 오쿠타마 지역의 철도 마을을 통째로 호텔로 재해석한 ‘연선마루고토호텔’과 거점 공간 ‘사톨로그’ 프로젝트를 통해 본 디자인의 새로운 역할. 지역성과 순환, 관계 경제를 설계한 사례를 분석하고 한국형 로컬 리디자인 전략까지 제시합니다. 디자인 이후의 디자인 : 지역성과 순환을 설계하는 새로운 패러다임– 사톨로그 프로젝트와 ‘연선마루고토호텔’이 말하는 관계의 공간 메타디자인 시대의 도래, 이제 질문은 “무엇을 디자인할 것인가?”가 아니다“디자인은 이제 하나의 공간을 꾸미는 기술이 아니라, 지역의 삶을 새롭게 엮어내는 메타적 행위다.”2025년 5월, 일본 도쿄 서부 오쿠타마 지역에서 흥미로운 프로젝트가 문을 열었다. 이름하여 ‘연선마루고토호텔’(沿線まるごとホテル).이 프로젝트는 JR 오메선의 작은 무.. 2025. 6. 30.
[정원식물 50선] 큰까치수염 : 여름 정원을 수놓는 청보랏빛 자생화 청보라 꽃이 하늘을 향해 피어나는 큰까치수염! 여름 정원에 자연미와 감성을 더해주는 자생식물이다. 생육 환경, 정원 활용법, 꽃말과 상징까지 전문가가 알려주는 식재 가이드. 자연을 닮은 정원, 큰까치수염으로 완성하는 여름 식재 디자인 한여름 햇살 아래, 수줍게 고개를 든 하늘빛 꽃 한 송이.흐드러지지 않지만 단정한 그 모습에서 오래 머무는 시선이 있다. 오늘 소개할 정원식물은 여름 정원의 고요한 청량감을 전해주는 ‘큰까치수염’이다.수직으로 곧게 자라며 청보랏빛 꽃을 피우는 이 식물은 한국의 들꽃 정원을 구성할 때 빠지지 않는 중요한 초본류다. 그 자체로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상징하며, 야생적이면서도 질서 있는 정원을 연출한다. 큰까치수염의 기본 정보학명 : Lobelia sessilifolia과.. 2025. 6.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