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밀레(저먼 캐모마일)는 향기로운 꽃과 약용 효과, 밀원기능을 두루 갖춘 다기능 정원 허브입니다. 꿀벌을 불러들이는 생태정원식물로서, 그리고 사람에게 치유를 전하는 향기 허브로서, 정원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품고 있는 카밀레의 특징과 활용법을 깊이 있게 소개합니다.
사과향 가득한 허브정원 만들기, 카밀레(저먼 캐모마일)의 모든 것
카밀레(저먼 캐모마일)란?
카밀레(Chamomile)는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사용되어 온 유서 깊은 허브로, 그리스어 chamai("땅") + melon("사과")에서 유래한 이름처럼 사과 향이 나는 땅 위의 식물을 의미한다.
현대 정원에서 널리 사용되는 ‘카밀레’는 주로 저먼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la)을 지칭하며, 때로는 로만 캐모마일(Chamaemelum nobile)과 혼용되기도 한다.
저먼 캐모마일은 1년생이지만 자가파종을 통해 해마다 자라는 반다년성 허브로, 꽃은 작고 순백색이며 중앙에 황금빛의 돌출된 원반이 있다. 이 작은 국화 형태의 꽃에서 강한 상큼한 사과향이 발산된다.
꽃말과 인문적 상징성
카밀레의 꽃말은 “역경 속의 힘”, “조용한 치유”, “내면의 평화”다.
작은 체구에 연약한 외형과 달리,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며, 벌과 사람 모두에게 유익한 꽃으로서 자연이 전하는 감정의 처방전처럼 여겨진다.
중세 유럽에서는 신경안정과 숙면을 위해 침구 주변에 말린 카밀레 꽃을 놓았고, 고대 이집트인들은 태양신 라(Ra)에게 이 꽃을 바치며 신성한 치유력을 기렸다.
식물 특성 요약
항목 | 내용 |
꽃 색상 | 흰색 꽃잎 + 노란 중심부 (전형적인 국화 구조) |
개화 시기 | 5월 ~ 7월 (늦봄 ~ 여름초) |
향기 | 신선한 사과향 (잎과 꽃 모두에서 발산) |
생장 높이 | 20 ~ 60cm |
생육 형태 | 줄기 곧고 꽃이 산형꽃차례로 피며 가벼운 이파리 |
내한성/내건성 | 내한성 좋음 / 자가파종 능력 우수 |
기타 특징 | 식용 및 약용 / 꿀벌 유도력 매우 우수 / 꽃 수확 후 재개화 가능 |
생태정원에서의 가치
카밀레는 단지 향기롭고 아름다운 허브가 아니다. 정원생태계에서 꿀벌, 나비, 무당벌레 등 다양한 수분매개 곤충을 유도하는 생태적 핵심 식물이다.
꽃의 구조가 개방적이기 때문에 다양한 곤충이 쉽게 꿀과 꽃가루에 접근할 수 있으며, 특히 꿀벌이 가장 선호하는 허브 식물 중 하나로 꼽힌다.
또한, 카밀레는 자가파종력이 뛰어나 지속 가능한 정원 식물로 기능하며, 해마다 별도 식재 없이도 정원 곳곳에 자리를 잡고 작은 군락을 형성한다.
이는 도시 생태정원, 학교 텃밭, 어린이 생태학습 정원에서 생물다양성 교육식물로도 이상적이다.
정원에서의 활용법
향기 허브 정원
- 명상정원, 치유정원, 아로마 가든 등에 필수
- 카밀레가 심어진 구역을 지날 때마다 자연스레 향이 퍼지며 후각적 안정감을 제공
밀원정원 & 수분정원
- 정원의 꽃가루 공급원과 꿀 공급원 역할
- 수분매개자 유도 식물로 심을 경우, 인근 작물의 수확량 증진 효과도 기대 가능
치유/약용 정원
- 꽃을 건조시켜 허브티로 마시면 숙면 유도, 소화 촉진, 감기 예방에 효과
- 외용으로는 피부진정제나 아로마 입욕제 등으로도 활용 가능
키친가든·텃밭 경계식재
- 작물 병충해 예방을 돕는 곤충을 유도
- 시각적으로도 작은 경계선 역할을 하며 텃밭의 시각 완성도를 높임
관리 및 재배요령
- 햇빛 : 하루 5시간 이상의 충분한 햇빛 필수. 반그늘에서는 향기와 개화량 모두 감소
- 토양 : 물 빠짐 좋은 사질양토 이상적. pH는 중성~약산성
- 물주기 : 과습에 약하므로 겉흙이 마른 후 충분히 주는 것이 이상적
- 전정 : 꽃을 수확하지 않을 경우에도 지는 꽃 제거 시 재개화 유도
- 번식 : 종자 파종이 일반적. 봄 또는 가을에 뿌리며, 자가파종으로도 매년 출현
- 월동 : 겨울에는 대부분 고사하나 종자로 남아 이듬해 자생함 (남부지방은 노지월동 가능)
카밀레가 있는 정원의 장점
- 곤충과 인간 모두에게 유익한 식물
- 치유적 향과 미적 완성도
- 꿀벌 유도와 생물다양성 증가
- 용도별(식용·향기·약용) 활용성 뛰어남
- 낮은 유지관리 부담 / 높은 번식성
전문가 한마디
“카밀레는 정원에서 가장 다정한 식물이다. 꿀벌에게는 천연 식탁이 되고, 사람에게는 아로마테라피가 된다. 건강한 정원의 숨결은 작은 허브에서 시작된다.”
여행 베스트셀러 1위, ‘서울 플레이북 365’가 특별한 이유
서울시가 제작한 정책 안내서 ‘서울 플레이북 365’가 여행 베스트셀러 1위에 올랐다. 이 책은 단순한 정책 홍보를 넘어, 시민의 삶과 일상 여행을 연결짓는 새로운 콘텐츠 실험으로 주목받고
sanisanee.co.kr
서울그린트러스트의 비밀정원, 도시 생물다양성을 위한 특별한 정원 프로젝트
서울그린트러스트가 조성한 ‘비밀정원(Bee-meal Garden)’은 꿀벌과 나비 등 수분매개자를 위한 생태정원이다. 기후위기 시대, 도시의 생물다양성을 지키기 위한 실천을 소개한다. 비밀정원(Bee-meal
sanisanee.co.kr
'Landscape Design and Tren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원식물 50선] 꽃고비, 그늘 속 정원을 물들이는 잎의 미학 (0) | 2025.07.06 |
---|---|
[정원식물 50선] 붉은숫잔대 : 물가를 물들이는 분홍빛 야생화 (0) | 2025.07.05 |
[정원식물 50선] 담곽향 : 향으로 공간을 채우는 그늘 정원의 자생 초본 (0) | 2025.07.03 |
[정원식물 50선] 은빛꼬리풀 : 바람을 따라 흐르는 은빛 물결 (1) | 2025.07.02 |
전북도 새만금 전략 수정, K-정원과 생태가 관광의 중심이 되다 (3) | 202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