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원 설계12

[정원식물 50선] 정원 경계·옥상녹화 필수 식물! 기린초로 꾸미는 생명력 가득한 공간 가뭄에도 끄떡없는 정원용 다년생 초화, 기린초. 내건성·내한성 모두 뛰어나고 다양한 품종이 존재해 지피식물, 화단 테두리, 옥상녹화 등 다방면 활용이 가능하다. 기린초의 특징, 생육 조건, 정원 활용법을 정리한다. 강인한 생명력의 정원 아이콘, 기린초 – 가뭄에도 살아남는 다육형 초화의 매력 기본정보국명 : 기린초학명 : Sedum spp.과명 : 돌나물과(Crassulaceae)형태 : 다년생 다육질 초화크기 : 높이 10~40cm 내외 (품종에 따라 다름)개화기 : 5월~9월꽃색 : 노란색, 분홍색, 흰색 등기타 특징 : 품종 다양, 군락성 강함, 번식 쉬움 식물 특징기린초는 전 세계적으로 약 400여 종이 분포하는 대표적인 다육질 초화류다. 국내 자생종인 '기린초(Sedum kamtschaticu.. 2025. 8. 19.
[정원식물 50선] 정원 경계와 포인트를 동시에! 우단동자꽃의 활용법 총정리 은빛 잎과 벨벳처럼 선명한 꽃이 조화를 이루는 우단동자꽃. 내건성·내한성이 뛰어나고 군락성도 강한 이 다년생 초화의 특징, 관리법, 정원 디자인 활용 팁을 정리한다. 은빛 잎과 진분홍 꽃의 강렬한 조화, 우단동자꽃 – 정원의 시선을 사로잡는 야생적 아름다움 기본정보국명 : 우단동자꽃학명 : Lychnis coronaria (syn. Silene coronaria)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형태 : 다년생 초화 (일부는 2년생 취급)크기 : 높이 60~80cm꽃색 : 진분홍, 보라, 흰색 등개화기 : 6월~8월잎색 : 은백색(흰 털로 덮여 있음)기타 특징 : 자가파종 가능, 강한 내건성 식물 특징우단동자꽃은 은빛 잎과 벨벳 같은 질감의 선명한 꽃이 강렬한 대비를 이루는 다년생 초화다. .. 2025. 8. 18.
[정원식물 50선] 촉감까지 치유되는 정원식물, 램스이어(Lamb’s Ear)의 모든 것 부드러운 은빛 잎으로 정원을 감싸는 램스이어! 순수함과 위안을 상징하는 다년초로 지피식물, 경계 식재, 오감 체험 정원에 탁월하다. 생육 조건부터 활용법까지 완벽 정리해드립니다.” 부드러움으로 정원을 감싸다, 램스이어 – 만지면 반하는 은빛 질감의 다년초 정원에 부드러운 질감과 차분한 분위기를 더하고 싶을 때, 가장 먼저 추천할 수 있는 식물이 있다. 마치 어린 양의 귀를 닮은 듯한 잎을 가진 램스이어(Lamb’s Ear). 잎 하나만으로도 사람의 시선을 사로잡는 이 식물은, 섬세한 질감, 은빛 색상, 강한 내건성과 병충해 저항력으로 수많은 정원 디자이너들이 애용하는 다년생 초화다.이 글에서는 램스이어의 기본 정보부터 꽃말, 생육 조건, 정원 활용법, 관리 팁, 그리고 조경 전문가의 한마디까지, 이 매.. 2025. 8. 15.
[정원식물 50선] 이국적인 대나무 실루엣! 뱀부 벨뱅크로 연출하는 정원의 선 뱀부 벨뱅크는 대나무 형태의 이국적인 분위기와 부드러운 곡선미를 지닌 조경용 장초다. 생육 조건, 식재 활용법, 관리 요령을 전문가 시선에서 안내한다. 이국적 분위기와 음영미의 조화, 뱀부 벨뱅크 – 정원의 구조를 세우는 대나무형 그라스 기본정보국명 : 뱀부 벨뱅크 (대나무형 벨뱅크)영명 : Bamboo Bellbank분류 : 다년생 그라스류 (장초류)높이 : 60~150cm잎색 : 청록색~짙은 녹색, 가늘고 직립형형태 : 다년생 포기형 그라스개화 : 드물거나 미미함, 주요 감상 포인트는 잎 식물 특징뱀부 벨뱅크는 이름 그대로 대나무(Bamboo)를 닮은 수직적이고 절제된 실루엣을 갖고 있는 장초류다. 실질적으로 대나무과 식물은 아니지만, 잎과 줄기의 형태가 가늘고 곧으며, 청록빛의 중성적 색감으로 정.. 2025. 8. 11.
[정원식물 50선] 무늬쥐똥나무 : 정원의 윤곽을 살리는 사계절 무늬 상록 관목 무늬쥐똥나무(Ligustrum japonicum ‘Variegata’)는 흰색 가장자리 잎과 촘촘한 수형이 돋보이는 상록 관목이다. 울타리, 테두리 식재, 포인트 수목으로 사랑받는 이 식물의 생육 조건, 관리법, 활용법을 정리했다. 사계절 녹음과 흰 테두리의 대비미, 무늬쥐똥나무의 매력 [정원식물 50선] 시리즈 식물로 무늬쥐똥나무(Ligustrum japonicum ‘Variegata’)를 소개합니다.선명한 흰색 테두리의 잎과 관리가 쉬운 특성 덕분에 공공조경부터 사유지까지 다양한 공간에서 인기 높은 대표적 상록 관목입니다. 무늬쥐똥나무란?국명 : 무늬쥐똥나무학명 : Ligustrum japonicum ‘Variegata’과명 : 물푸레나무과 (Oleaceae)원산지 : 한국, 일본, 중국 등 동.. 2025. 7. 17.
산림청이 추천한 ‘2025년 7월 수목원·정원 10선’ 총정리 여름방학, 휴가철 가볼만한 수목원과 정원은 어디? 산림청이 공식 추천한 7월 ‘꽃이 만개한 여름 힐링 명소 10선’을 소개합니다. 수국, 수련, 무궁화, 대나무, 메타세쿼이아까지 한여름 자연 속으로 떠나보세요! 한여름, 꽃물결 따라 떠나는 힐링 여행! 산림청 추천 여름 수목원·정원 여행지 모음 신구대학교식물원 (경기 성남)분류 : 사립 수목원개요 : 도심 가까이에서 세계 각국의 수련을 만날 수 있는 전문 식물원.특징 : 온·열대 수련 전시, 다양한 수생식물 식재.추천 포인트 : 연못에 피어나는 다채로운 수련과 이국적인 식물 체험.오전 시간 방문 시, 햇살과 수련 반영이 어우러져 최고의 사진 포인트 확보 가능.대표 사이트 : https://www.sbg.or.kr/main/ 신구대학교식물원SUMMER.. 2025. 7. 14.
[정원식물 50선] 은쑥 : 은빛 정원 텍스처의 마법사 쑥이라고 다 같은 쑥이 아니다! 은쑥은 독특한 은빛 잎과 뛰어난 내건성으로 정원에 고급스럽고 안정된 분위기를 더하는 피복형 초본이다. 조경 디자이너들이 사랑하는 이 식물의 활용법과 관리법을 소개한다. 정원 디자이너들이 사랑하는 배경 식물, 은쑥 활용 가이드은쑥이란?국명 : 은쑥학명 : Artemisia ludoviciana (대표 품종: ‘Valerie Finnis’, ‘Silver Queen’ 등)과명 : 국화과 (Asteraceae)원산지 : 북아메리카형태 : 다년생 초본 / 지하경으로 퍼지는 피복형은쑥은 부드러운 흰빛이 도는 잎으로 잘 알려진 정원식물이다. 햇빛을 반사하는 은빛 텍스처는 시각적으로 매우 강력하며, 계절 내내 안정된 색을 유지한다. 일반적인 쑥과 달리 강한 향은 없지만, 잔디 대체,.. 2025. 6. 20.
[정원식물 50선] 꼬리풀 : 꽃 피는 보랏빛 꼬리, 여름 정원의 곤충호텔 보랏빛 꽃이 길게 피어나는 꼬리풀은 꿀벌과 나비가 사랑하는 대표 밀원식물입니다. 여름~가을 정원의 생물다양성 증진과 시각 포인트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꼬리풀의 매력을 소개합니다. 꽃도 꿀도 가득! 정원 필수 식물, 꼬리풀 활용법 꼬리풀이란?국명 : 꼬리풀학명 : Pseudolysimachion linariifolium (Pallas ex Link) Holub과명 : 현삼과 (Scrophulariaceae 또는 Plantaginaceae)원산지 : 동북아시아 (한국, 중국, 몽골 등)형태 : 다년생 초본꼬리풀은 이름 그대로 꽃차례가 길게 늘어지거나 곧게 솟아 동물의 꼬리를 닮았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여름철 줄기 끝에서 푸른빛이 도는 보라색 꽃이 총상으로 길게 달려 정원의 수직선을 형성해준다.꽃말과 상.. 2025. 6. 19.
[정원식물 50선] 꽃향유 : 가을 정원의 자주빛 향기, 꿀벌이 춤추는 허브 가을 정원을 자주색으로 물들이는 꽃향유는 향기, 밀원기능, 생태적 가치까지 고루 갖춘 자생 허브입니다. 향기로운 꽃과 뛰어난 밀원 기능, 가을 정원의 대표 색감까지 갖춘 이 식물은 생태정원, 꿀벌정원, 전통 정원 조성에 두루 쓰이며, 우리나라의 자생 허브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벌과 나비가 몰려드는 가을 꽃, 꽃향유의 특징과 정원 활용법을 소개합니다. 정원에 가을을 심다, 향기로 피어나는 꽃향유의 모든 것 꽃향유란?국명 : 꽃향유학명 : Elsholtzia splendens Nakai ex F. Maek.과명 : 꿀풀과 (Lamiaceae)원산지 : 동아시아 (한국, 중국 등)형태 : 1년생 또는 월동 가능한 반숙근 초본분포 : 우리나라 산야에 자생꽃향유는 이름처럼 꽃에서도 향기가 나며, 특히 가을철.. 2025. 6.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