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andscape Design and Trends

[정원식물 50선] 붉은숫잔대 : 물가를 물들이는 분홍빛 야생화

by 산이사니 2025. 7. 5.
반응형

 

 

 

붉은숫잔대는 수변 정원과 생태하천 조성에 필수적인 자생 야생화입니다. 긴 개화기간, 강한 번식력, 그리고 분홍색 꽃의 아름다움까지 갖춘 이 식물은 정원에서 생물다양성과 시각미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최고의 수변식물입니다.

 

정원의 수변을 완성하는 자생 식물, 숫잔대의 모든 것

 

붉은숫잔대란?

  • 국명 : 붉은숫잔대 (통칭 숫잔대 포함)
  • 학명 : Lythrum anceps (syn. Lythrum salicaria L.)
  • 과명 : 부처꽃과 (Lythraceae)
  • 원산지 :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 지역
  • 형태 : 다년생 초본 (습지식물)

붉은숫잔대 : 물가를 물들이는 분홍빛 야생화

붉은숫잔대는 이름처럼 붉은빛(분홍~자주)의 꽃을 피우며, 수변, 논둑, 하천변 등 습윤한 장소에서 자생하는 대표적인 한국의 야생화다.
여름철 장마 기간에도 흔들림 없이 꽃을 피우며, 줄기 전체가 위로 곧게 솟고 꽃이 층층이 달려 군식 시 웅장한 경관 연출이 가능하다.

 

꽃말과 생태적 상징성

숫잔대의 꽃말은 “정결한 사랑”, “자연의 인내”, “끊임없는 에너지”다.
연약해 보이지만 수해와 풍해를 견디며 매년 화려한 분홍빛을 뽐내는 이 식물은, 자연 속 강인함과 회복력을 상징하며, 생태 회복 프로젝트에 자주 활용된다.

 

식물 특성 요약

항목 내용
꽃 색상 분홍~자주색 (품종·환경에 따라 연분홍~보라색까지 변화)
개화 시기 6월 ~ 9월 (여름~초가을)
잎 특징 좁고 길며 마주나기 / 줄기에는 각이 있음
생장 높이 약 60~120cm (다 자라면 1.5m 이상도 가능)
개화 구조 줄기 끝에 밀집된 꽃차례 / 위로 향해 다층 개화
내한성/내건성 매우 강함 / 습지 적응력 우수
기타 특징 곤충방문 활발 / 토종 수생식물 / 침수에도 강함
 

 

생태정원에서의 역할

붉은숫잔대는 단지 ‘예쁜 꽃’이 아니다. 이 식물은 수변 생태계의 회복과 연결을 위한 키 식물(key species) 중 하나로 분류되며,

  • 물가 경관을 구성하는 자생 수생식물로서,
  • 꿀벌과 나비, 파리 등 다양한 수분매개 곤충을 유도하며,
  • 토종 식생 기반의 정원 조성 시 매우 안정적인 생물다양성 중심축이 된다.

특히 ‘비밀정원 Bee-meal’ 프로젝트와 같이 밀원식물 기반의 도시 생태정원 조성에서도 추천종으로 채택된 바 있다.

 

정원에서의 활용법

수변 정원 또는 연못가 식재

  • 하천변, 습지, 인공연못 가장자리에 이상적
  • 붉은 꽃과 수직적 줄기가 수면에 반사되어 경관 효과 극대화

밀원정원 및 생태하천 복원 식재

  • 꿀벌, 나비, 파리, 잠자리 유도 / 자연서식지 복원에 이상적
  • 다년생이므로 지속적인 관리 부담이 낮고 생태적 안정성 높음

군락지 조성 및 그라운드커버

  • 3주 이상 심을 경우 자연 군락 형성
  • 단일 군식 또는 주변의 수생식물과 층층이 조합하여 시각적 흐름 조절 가능

 

관리 및 재배요령

  • 햇빛 : 양지에서 개화량 극대화 / 반그늘도 적응 가능
  • 토양 : 배수력보다 수분 유지력이 중요한 습윤토 이상적
  • 물주기 : 습도 유지가 핵심 / 건조 기간 중에도 토양은 촉촉하게
  • 전정 : 개화 후 꽃대 절단 시 다음 해 더 풍성한 개화 유도
  • 번식 : 종자 파종, 포기나누기 모두 쉬움
  • 월동 : 노지 월동 완전 가능 / 침수지역에서도 문제 없음
반응형

 

붉은숫잔대의 생태·미적 장점 요약

  • 장기 개화기간 : 여름~초가을까지 오랜 기간 꽃 감상
  • 곤충다양성 지원 : 꿀벌, 나비, 잠자리 등 다양한 곤충 유도
  • 수변 토착성 식물 : 국내 자생종으로 생태복원 시 적합
  • 시각적 구조감 : 수직적 선형과 다층 꽃차례로 정원 경관에 리듬 부여
  • 유지관리 간편 : 내습성과 자립성이 뛰어나 공공조경에 최적화

 

전문가 한마디

“붉은숫잔대는 물가에서 가장 먼저 피고, 가장 오래 남는 꽃이다. 그 존재만으로도 정원은 생태적으로 완성된다.”

 

 

 

함께 만드는 정원, 함께 피어나는 마을 – 커뮤니티정원 가이드

도시 속 자연과 공동체 회복의 해답, 커뮤니티정원! 자생식물을 활용한 정원 조성법부터 교육·생산·상징형 3대 유형 해설, 조성 과정까지 상세히 소개합니다. ※ 본 글은 산림청·한국수목원정

sanisanee.co.kr

 

 

여름축제 끝판왕, 워터밤 2025 서울 : 여름을 찢을 역대급 물놀이 음악 페스티벌

2025년 7월, 고양시 킨텍스(KINTEX) 야외 글로벌 스테이지에서 열리는 '워터밤 2025 서울'. 물과 음악이 결합된 국내 최고 여름 축제의 모든 정보를 확인하세요. 워터밤 2025 서울 : 여름의 열기와 물의

sanisanee.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