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andscape Design and Trends290

[정원식물 50선] 자주천인국 : 정원에 강인한 생명을 더하는 보랏빛 콘플라워 자주천인국(Echinacea purpurea)은 여름 정원의 색채를 책임지는 보랏빛 꽃입니다. 꿀벌과 나비를 끌어들이는 밀원식물이며, 약용 효과로도 잘 알려진 다년생 숙근식물의 매력을 살펴봅니다. 정원과 건강을 동시에! 자주천인국의 약용 효과와 조경 활용자주천인국이란?국명 : 자주천인국학명 : Echinacea purpurea (L.) Moench과명 : 국화과 (Asteraceae)원산지 : 북아메리카다른 이름 : 퍼플 콘플라워(Purple coneflower), 에키네시아(Echinacea)자주천인국은 중앙이 돌출된 꽃머리를 중심으로 꽃잎이 아래로 처지는 구조를 가진 독특한 형태의 숙근초로, 여름부터 가을까지 정원을 풍성하게 물들이는 보랏빛 꽃으로 잘 알려져 있다.유래와 꽃말“콘플라워(Coneflow.. 2025. 6. 11.
i Light Singapore 2025 : 싱가포르 빛축제 'To Gather' 싱가포르 최대의 친환경 조명 예술 축제, i Light Singapore 2025가 ‘To Gather’를 주제로 열렸다. 재활용 소재, 인터랙티브 아트, AI 작품까지 총망라한 17개의 주요 작품을 통해 도시, 예술, 환경의 새로운 연결 방식을 탐색해보자. 아이라이트 싱가포르 2025, 도시를 붉게 밝히는 지속가능한 빛의 축제 도시는 어떻게 빛으로 말을 거는가?매년 6월이면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일대는 예술로 다시 태어난다. 단순한 ‘빛축제’를 넘어, 아이라이트 싱가포르(i Light Singapore)는 도시가 환경에 대해 이야기하는 인터페이스이자, 관객이 예술을 통해 미래를 체험하는 장치로 작동한다.올해로 11회를 맞이한 i Light Singapore 2025는 "To Gather"라는 주제.. 2025. 6. 11.
[정원식물 50선] 수크령 ‘리틀버니’ : 가을 정원에 부드러운 바람을 심다 수크령 ‘리틀버니’는 솜사탕 같은 부드러운 꽃차례와 아담한 키로 가을 정원의 포인트 식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정원 디자인, 생태적 역할, 관리법까지 수크령의 매력을 알아봅니다. 흔들림이 주는 그라스 정원의 미학, 수크령 ‘리틀버니’수크령 ‘리틀버니’란?국명 : 수크령 ‘리틀버니’학명 : Pennisetum alopecuroides ‘Little Bunny’과명 : 벼과 (Poaceae)원산지 : 아시아 동부 (한국, 일본, 중국 등)다른 이름 : 왜성수크령, 미니수크령, ornamental fountain grass수크령 ‘리틀버니’는 본래 초본성 식물인 수크령의 왜성 품종으로, 키가 작고 잎이 부드럽게 흐르며 8~10월경 솜사탕처럼 몽글몽글한 꽃이 피는 귀여운 가을 식물이다. 그라스 식재의 대표종으.. 2025. 6. 10.
[정원식물 50선] 백리향 : 향기로 덮는 정원, 꿀벌이 머무는 땅 허브와 그라운드커버, 밀원식물의 기능을 동시에! 백리향은 향기와 꽃, 생태적 유익성을 갖춘 다기능 정원식물입니다. 도심 생태정원과 베란다 화분에서의 활용법까지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정원 초보도 키울 수 있는 향기 허브, 백리향 키우기 가이드 백리향이란?국명 : 백리향학명 : Thymus quinquecostatus Čelak.과명 : 꿀풀과 (Lamiaceae)원산지 : 동아시아 (한국, 중국, 일본)다른 이름 : 타임(Thyme), 자생타임, 산백리향백리향은 향기로운 허브로서 뿐만 아니라, 관상성과 생태기능을 동시에 갖춘 다년생 초본이다. 키는 낮지만 넓게 퍼지며, 잎과 줄기에서 강한 향이 나고, 꽃은 작고 분홍색으로 피어 꿀벌과 나비를 유인한다. 이름처럼 백리 밖까지 향기가 난다 하여 백리향이라.. 2025. 6. 9.
2025 대한민국 정원산업박람회 in 진주, 정원 작가 6인과 동행정원 전격 소개! 2025년 6월 13일부터 22일까지 진주 초전공원에서 개최되는 대한민국 정원산업박람회에서는 정원산업전, 동행정원, 시민참여정원 등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실용정원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한다. 참여 기관 및 정원 조성 내용을 상세히 소개한다. 정원과 함께하는 삶, 생활 속 실용정원 : 2025 대한민국 정원산업박람회 in 진주, 6월 13일 개막! 2025 대한민국 정원산업박람회가 6월 13일부터 10일간 진주시 초전공원에서 개최된다. 올해 박람회의 주제는 “정원과 함께하는 삶 : 생활 속 실용정원”으로, 도시민의 일상 속에서 정원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구성된다.박람회 개요기간 : 2025년 6월 13일(금) ~ 6월 22일(일)장소 : 경상남도 진주시 초전공원(초전동 15.. 2025. 6. 6.
서울그린트러스트의 비밀정원, 도시 생물다양성을 위한 특별한 정원 프로젝트 서울그린트러스트가 조성한 ‘비밀정원(Bee-meal Garden)’은 꿀벌과 나비 등 수분매개자를 위한 생태정원이다. 기후위기 시대, 도시의 생물다양성을 지키기 위한 실천을 소개한다. 비밀정원(Bee-meal Garden), 꿀벌을 위한 도시 속 작은 생태계도시의 콘크리트 틈 사이, 생명을 부르는 정원이 숨어 있다. 바로 '비밀정원(Bee-meal Garden)'이다. 서울그린트러스트가 주도하는 이 정원은 우리가 무심코 지나치는 작은 공간에 수분매개자를 위한 생명의 밥상을 차린다. 기후위기 시대, 곤충과 도시가 함께 살아가기 위한 아름다운 실천을 소개한다. 비밀정원, 왜 시작되었을까?기후변화와 서식지 파괴로 수많은 곤충들이 사라지고 있다. 특히 꿀벌, 나비, 벌새 등 식물의 수분을 돕는 수분매개자(po.. 2025. 6. 3.
홍수 막는 공원이 부동산 가치까지? – 도시 스펀지공원의 경제 효과 보고서 중국의 도시 스펀지공원이 주택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텍스트마이닝과 헤도닉 가격모형(HPM)으로 분석한 최신 연구. 6개 도시사례를 통해 기후 적응형 공원이 가진 경제적 잠재력을 살펴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물을 머금은 공원, 부동산 가치를 올리다 – 스펀지시티 공원의 경제적 효과 분석 1. 왜 도시 스펀지공원이 중요한가?기후변화와 극한강우로 도시 침수 위험이 증가하면서, 빗물을 머금고 정화하는 스펀지형 도시공원(USP: Urban Sponge Parks)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들은 단순한 조경이나 휴게 기능을 넘어, 생태 회복, 수질 정화, 홍수 저감 등 다기능 녹지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그 경제적 가치, 특히 부동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게 조명되어 왔다.이번에 『.. 2025. 5. 29.
지속가능한 조경과 건축의 미래, Play Earth Park에서 찾다 일본 토야마에 조성 중인 Play Earth Park. 골드윈이 제안하는 ‘자연과 노는 방식’을 공간으로 풀어낸 이 혁신적 공원 프로젝트의 설계 철학과 공간 구성을 알아보자. 자연과 다시 연결되는 공간, Play Earth Park의 모든 것 프롤로그 : 우리는 자연과 연결되어 있는가?아이들이 흙을 만지지 않고 자라는 시대, 어른들이 하늘을 올려다보지 못하는 도시. ‘자연과 함께 노는 법’을 잊은 오늘, 패션 브랜드 골드윈은 질문을 던졌다. “우리는 지구에서 놀고 있는가(Do we Play Earth)?” 이 물음에서 시작된 공간이 있다. 바로 일본 토야마현 난토시에 조성 중인 Play Earth Park다. 프로젝트 개요와 조성 목적명칭 : Play Earth Park위치 : 일본 토야마현 난토.. 2025. 5. 28.
도민 쉼터+에너지 자립공원, 경기정원으로 보는 미래 조경 트렌드 경기도가 경기융합타운의 마지막 퍼즐인 경기정원 조성공사를 착공했다. 잔디광장, 평화연못, 어린이놀이터 등 다양한 휴게공간과 함께, RE100을 적용한 친환경 정원이 2026년 상반기 개방을 목표로 조성된다. “도심 속 녹색 쉼터의 탄생” 경기정원 조성공사 착공 경기정원 조성공사 개요경기도는 경기융합타운의 핵심 녹지공간인 경기정원 조성공사를 2025년 5월 16일 착공했다. 총 3만2,700㎡ 규모의 경기정원은 도민의 여가와 휴식을 위한 녹색 공간으로 조성되며, 2026년 상반기 개방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요 조경 요소잔디광장6,500㎡ 규모의 넓은 잔디광장은 도민들이 자유롭게 휴식하고 다양한 행사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된다. 평화연못물놀이가 가능한 평화연못은 도심 속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는.. 2025. 5.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