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andscape Design and Trends338

[정원식물 50선] 은쑥 : 은빛 정원 텍스처의 마법사 쑥이라고 다 같은 쑥이 아니다! 은쑥은 독특한 은빛 잎과 뛰어난 내건성으로 정원에 고급스럽고 안정된 분위기를 더하는 피복형 초본이다. 조경 디자이너들이 사랑하는 이 식물의 활용법과 관리법을 소개한다. 정원 디자이너들이 사랑하는 배경 식물, 은쑥 활용 가이드은쑥이란?국명 : 은쑥학명 : Artemisia ludoviciana (대표 품종: ‘Valerie Finnis’, ‘Silver Queen’ 등)과명 : 국화과 (Asteraceae)원산지 : 북아메리카형태 : 다년생 초본 / 지하경으로 퍼지는 피복형은쑥은 부드러운 흰빛이 도는 잎으로 잘 알려진 정원식물이다. 햇빛을 반사하는 은빛 텍스처는 시각적으로 매우 강력하며, 계절 내내 안정된 색을 유지한다. 일반적인 쑥과 달리 강한 향은 없지만, 잔디 대체,.. 2025. 6. 20.
2025 남도 수국축제 완전 정복! 고흥·담양·해남 민간정원 7선 여행 가이드 전라남도에서 열리는 2025 남도 K-가든 페스티벌! 고흥 쑥섬, 담양 죽화경, 해남 포레스트 수목원 등 민간정원 7곳에서 펼쳐지는 형형색색 수국축제를 소개합니다. 여행 팁부터 포토존까지 완벽 가이드 제공! 수국 명소 7선! 남도의 정원에서 펼쳐지는 형형색색 수국축제 총정리고흥 쑥섬부터 해남 포레스트 수목원까지, 전남 민간정원·수목원에서 즐기는 수국의 향연 ‘남도 K-가든 페스티벌’이란?전라남도는 2025년 여름, 지역 대표 민간정원과 민간수목원을 중심으로 ‘남도 케이(K)-가든 페스티벌’을 공식 개최하였다.이 축제는 전남 전역의 아름다운 정원을 하나의 관광자원으로 연결하는 정원문화 진흥 프로젝트로, 이번 여름 테마는 바로 ‘수국(水菊)’이다.기간 : 6월 중순 ~ 8월 말 (두 달 보름간)장소 : 고흥.. 2025. 6. 20.
[정원식물 50선] 꼬리풀 : 꽃 피는 보랏빛 꼬리, 여름 정원의 곤충호텔 보랏빛 꽃이 길게 피어나는 꼬리풀은 꿀벌과 나비가 사랑하는 대표 밀원식물입니다. 여름~가을 정원의 생물다양성 증진과 시각 포인트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꼬리풀의 매력을 소개합니다. 꽃도 꿀도 가득! 정원 필수 식물, 꼬리풀 활용법 꼬리풀이란?국명 : 꼬리풀학명 : Pseudolysimachion linariifolium (Pallas ex Link) Holub과명 : 현삼과 (Scrophulariaceae 또는 Plantaginaceae)원산지 : 동북아시아 (한국, 중국, 몽골 등)형태 : 다년생 초본꼬리풀은 이름 그대로 꽃차례가 길게 늘어지거나 곧게 솟아 동물의 꼬리를 닮았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여름철 줄기 끝에서 푸른빛이 도는 보라색 꽃이 총상으로 길게 달려 정원의 수직선을 형성해준다.꽃말과 상.. 2025. 6. 19.
[정원식물 50선] 꽃향유 : 가을 정원의 자주빛 향기, 꿀벌이 춤추는 허브 가을 정원을 자주색으로 물들이는 꽃향유는 향기, 밀원기능, 생태적 가치까지 고루 갖춘 자생 허브입니다. 향기로운 꽃과 뛰어난 밀원 기능, 가을 정원의 대표 색감까지 갖춘 이 식물은 생태정원, 꿀벌정원, 전통 정원 조성에 두루 쓰이며, 우리나라의 자생 허브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벌과 나비가 몰려드는 가을 꽃, 꽃향유의 특징과 정원 활용법을 소개합니다. 정원에 가을을 심다, 향기로 피어나는 꽃향유의 모든 것 꽃향유란?국명 : 꽃향유학명 : Elsholtzia splendens Nakai ex F. Maek.과명 : 꿀풀과 (Lamiaceae)원산지 : 동아시아 (한국, 중국 등)형태 : 1년생 또는 월동 가능한 반숙근 초본분포 : 우리나라 산야에 자생꽃향유는 이름처럼 꽃에서도 향기가 나며, 특히 가을철.. 2025. 6. 18.
자생식물 복원소재 가이드북 요약 : 수종 선택과 번식법까지 산림청·국립수목원·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이 공동 발간한 『자생식물 복원소재 가이드북』(2024)은 산림복원에 활용할 수 있는 자생식물 114종의 생육환경, 번식법, 활용 정보를 정리한 실무형 자료입니다. 참조생태계 기준의 수종 선정 기준과 법적 의무화를 바탕으로 현장 설계자와 시공자에게 필수적인 안내서를 제공합니다. 『자생식물 복원소재 가이드북』(2024) 소개 : 산림복원사업을 위한 자생식물 실무 정보 제공서발간 개요서명 : 자생식물 복원소재 가이드북발간 연도 : 2024년발간 기관 : 산림청 ·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 국립수목원총 페이지 : 69쪽자료 형식 : PDF 컬러 도판 포함수록 식물 수 : 114종 (개별 단원 형식)구성 방식 : 식물 1종당 1~2페이지로 구성된 정보 제공 제작 배경 및 필요.. 2025. 6. 18.
함께 만드는 정원, 함께 피어나는 마을 – 커뮤니티정원 가이드 도시 속 자연과 공동체 회복의 해답, 커뮤니티정원! 자생식물을 활용한 정원 조성법부터 교육·생산·상징형 3대 유형 해설, 조성 과정까지 상세히 소개합니다. ※ 본 글은 산림청·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에서 편찬한 「커뮤니티 정원: 나의 작은 정원 만들기」가이드북을 기반으로, 커뮤니티정원의 개념부터 유형, 조성 키포인트까지 총체적으로 정리한 블로그 글 입니다. 커뮤니티정원 만들기, 자연과 사람을 잇는 도시의 새로운 삶 프롤로그 : 왜 지금, 커뮤니티정원인가?도시는 빠르게 변하고 있다. 하지만 바쁘고 고립된 일상 속에서도 여전히 사람들은 자연을 그리워한다. 공원을 찾는 이유도, 집 앞 화단에 눈길이 가는 것도 결국 자연이 주는 위안과 회복력을 원하기 때문이다. 그 해답 중 하나가 바로 커뮤니티정원이다.커뮤니티정.. 2025. 6. 17.
[정원식물 50선] 베르가못(Bergamot) : 향기와 생명을 부르는 허브의 여왕 여름 정원에 생명과 향기를 더해주는 허브식물, 베르가못. 꿀벌·벌새·나비가 사랑하는 매력적인 허브이자 관상가치가 높은 다년생 식물인 베르가못의 특성과 정원 활용법을 소개합니다. 여름 정원에 활력을! 생태정원 필수식물 ‘베르가못’ 베르가못(Bergamot)이란?국명 : 베르가못 (벨가못이라고도 불림)학명 : Monarda didyma L.과명 : 꿀풀과 (Lamiaceae)원산지 : 북아메리카영문명 : Bee Balm, Fragrant Balm다른 이름 : 모나르다(Monarda), 벌향초, 허브계의 라벤더베르가못은 생생한 자홍색~보라빛 꽃과 오렌지 계열의 상쾌한 향기를 지닌 허브성 다년생 식물이다. 꿀벌과 벌새, 나비를 유혹하는 이 식물은 생태적 기능과 관상가치를 동시에 갖춘 ‘정원의 허브 여왕’이라 불.. 2025. 6. 17.
[정원식물 50선] 층꽃나무 : 여름 정원을 수놓는 보랏빛 꿀길 보랏빛 꽃이 층층이 피어나는 아름다운 밀원식물, 층꽃나무를 소개합니다. 여름철 꿀벌과 나비를 끌어당기는 이 특별한 식물은 생태정원과 도시정원 모두에 적합한 매력적인 관목입니다. 보라빛 꽃이 층층이 피는 층꽃나무, 생태와 미감을 동시에층꽃나무란?국명 : 층꽃나무학명 : Caryopteris incana (Thunb. ex Houtt.) Miq.과명 : 마편초과 (Verbenaceae 또는 꿀풀과 Lamiaceae로 분류되기도 함)원산지 : 동아시아 (한국, 중국, 일본 등)다른 이름 : 블루 스피라클 (Blue spiraecle), 블루미스트층꽃나무는 이름처럼 꽃차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층층이’ 달리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여름철 보랏빛 꽃이 줄기 전체를 따라 피어나는 이 식물은 풍성한 밀원과 아름.. 2025. 6. 16.
[정원식물 50선] 황금국수나무, 정원을 물들이는 황금빛 수목의 매력 도시정원과 생태정원을 위한 대표 수종 ‘황금국수나무’를 소개합니다. 아름다운 황금빛 잎과 매력적인 흰꽃, 수분매개자와의 생태적 상호작용까지, 정원에 생명을 더하는 특별한 식물을 지금 알아보세요. 정원 포인트 식물 추천! 황금국수나무로 생태와 색감을 동시에!황금국수나무란?국명 : 황금국수나무 (일명 양국수나무)학명 : Physocarpus opulifolius (L.) Maxim.과명 : 장미과 (Rosaceae)원산지 : 북아메리카 동부다른 이름 : Ninebark (영문권에서), 밀원목(밀원식물로서)황금국수나무는 이름 그대로 ‘황금색 잎’을 가진 관목성 식물로, 정원에 강한 시각적 포인트를 부여하는 매력적인 식물이다. 특히 봄철부터 여름까지 이어지는 흰색 또는 분홍빛을 띤 종모양의 꽃과, 계절 내내 .. 2025. 6.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