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후 대응 조경설계6

녹지 기능을 수치화하는 AI 기반 도시조경 분석 도구 소개 도시의 녹지는 이제 ‘눈에 보이는 초록’이 아니라, 정량화 가능한 기후 대응 인프라로 인식되어야 한다.최근에는 조경 설계 및 도시계획 분야에서도 인공지능(AI), 위성영상, 공간정보(GIS)를 활용한 녹지 분석 도구들이 주목받고 있다.이번 글에서는 녹지의 탄소흡수, 생태가치, 기후완화 효과 등을 수치화할 수 있는 주요 AI 기반 분석 툴을 소개하고, 실제 도시조경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알아본다. 녹지 기능을 수치화하는 AI 기반 도시조경 분석 도구 소개 1. 왜 AI 기반 녹지 분석 도구가 필요한가?✔ 전통적 생태 분석은 시간·노력이 많이 들고 정확한 실측 데이터 확보가 어렵다.✔ 도시 단위에서 녹지의 기능적 기여(탄소흡수, 온도저감 등)를 수치화해야 예산 정당화와 정책 결정이 가능하다.✔ ESG 공.. 2025. 4. 19.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수종 선정 전략 : 탄소흡수, 생태성, 관리효율까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수종 선정 전략 : 탄소흡수, 생태성, 관리효율까지 1. 왜 수종 선정이 기후위기 대응에 중요한가?기후위기 시대의 조경·녹지 설계는 단순히 녹색을 늘리는 데 그치지 않는다.탄소흡수, 생물다양성 회복, 도시열섬 완화, 유지관리 효율성까지 모두 고려된 ‘전략적 수종 선정’이 핵심이다. 적절한 수종을 선택하지 못할 경우,기대한 만큼의 탄소흡수 효과를 얻지 못하거나식재 후 고사율이 높고 관리비용이 급증하며지역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전략적 수종 선정의 3대 기준(1) 탄소흡수 능력 (Carbon Sequestration Capacity)수종별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과학적으로 비교성장속도, 생장량, 잎면적지수(LAI), 목재 밀도 등 영향☆ 대표 수종의 평균 연간 탄소.. 2025. 4. 18.
생태면적률 제도와 연계한 탄소중립 설계 전략 : 도시녹화에서 기후행동까지 기후위기 시대에 도시설계는 단지 '환경을 고려하는 수준'을 넘어서야 한다. 생물다양성 보전, 물순환 회복, 도시열섬 완화와 함께 탄소흡수 기능까지 포괄하는 설계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최근 생태면적률 제도가 기후대응형으로 진화하면서, 탄소중립을 설계에 통합하려는 시도가 활발해지고 있다.이번 글에서는 생태면적률을 중심으로 탄소중립 설계전략이 어떻게 구체화되고 있는지, 어떤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지, 국내외 사례와 실현 가능성을 중심으로 정리해본다. 생태면적률 제도와 연계한 탄소중립 설계 전략 : 도시녹화에서 기후행동까지 1. 왜 생태면적률과 탄소중립은 함께 논의되어야 하는가?생태면적률은 녹지 확보와 투수면 증가를 통해 도시환경의 생태 기능을 회복하는 제도다. 반면 탄소중립은 배출량과 흡수량의 균형을 .. 2025. 4. 16.
생태면적률 제도, 어디까지 왔고 어디로 가야 할까 : 수원시와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생태면적률 제도는 기후변화 대응과 도시 회복력 확보를 위한 핵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법령으로 기준을 설정한다고 해서 도시 환경이 변화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 운영 사례와 그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이번 글에서는 국내 대표 사례로 손꼽히는 수원시의 정책과 해외 도시들의 생태면적률 또는 유사 개념 운영 사례를 비교 분석해 보고, 향후 국내 제도의 방향성을 모색해본다. 생태면적률 제도, 어디까지 왔고 어디로 가야 할까 : 수원시와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1. 국내 사례 : 물순환 선도도시 수원시의 생태면적률 정책 수원시는 2010년대 초부터 물순환 회복과 불투수면적 저감을 핵심 도시정책으로 설정하고 다양한 시도를 이어오고 있다. 염태영 전 시장 재임 시절 도입된 이 정책은 생태.. 2025. 4. 16.
기후위기 시대, 생태면적률 제도의 현재와 미래 : 국회포럼을 중심으로 기후위기 시대, 생태면적률 제도의 현재와 미래 : 국회포럼을 중심으로 생태면적률 제도는 도시의 회복력과 지속가능성을 좌우하는 핵심 정책 중 하나다. 특히 기후변화가 도시 인프라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심화됨에 따라, 생태면적률의 역할은 단순한 녹지 확보를 넘어 기후위기 대응 전략의 일환으로까지 확장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4월 국회에서 열린 생태면적률 제도 개선 포럼의 핵심 내용을 정리하고, 현재 제도의 구조 및 개선 방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본다. 1. 포럼의 취지와 주요 발표 내용 요약 2025년 4월 9일, 국회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기후변화와 생태면적률 제도개선 국회포럼"은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도시 관리를 위해 생태면적률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 2025. 4. 15.
국립공원공단이 선정한 탄소흡수 우수 자생수목 10종 분석 및 활용 방안 2025년 식목일을 맞아 국립공원공단은 탄소 흡수능력이 우수한 자생수목 10종을 발표하였다. 이번 발표는 2023년부터 국립공원 내 주요 자생수목의 탄소흡수량을 과학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되었으며, 설악산 등 14개 국립공원에서 84종에 대한 탄소흡수량 평가 결과를 포함하고 있다. 국립공원공단이 선정한 탄소흡수 우수 자생수목 10종 분석 및 활용 방안 국립공원공단 발표 내용 요약총 84종 수목의 평균 탄소흡수량 : 7.37kg-CO2/그루/년우수 수목 10종 평균 탄소흡수량 : 평균 대비 2배 이상최상위 수종 : 상수리나무(30.12kg), 물박달나무(21.51kg)2025년까지 23개 국립공원 전체 수목 탄소흡수 조사 완료 계획 탄소흡수 우수 자생수목 10종 및 특징수목명수종구분주요 특징연간.. 2025. 4.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