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조경 디자이너를 위한 AI 툴 5종 비교 : Midjourney부터 Twinmotion까지
디지털 기술이 조경 설계에 미치는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 특히 AI 기반 툴의 등장으로 아이디어 구상, 시각화, 모델링, 시뮬레이션까지 설계 전 과정에서 효율성과 창의성이 크게 향상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전 글에서 설명한 Midjourney를 비롯해서 조경 디자이너들이 실무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AI 및 시각화 툴 5가지를 선정해, 각 툴의 개요, 사용 방법, 특장점, 활용 팁까지 상세히 비교 정리한다.
1. Midjourney : 창의적 컨셉 스케치 생성에 탁월한 AI 이미지 생성기
- 개요 : Midjourney는 텍스트 프롬프트만으로 고품질의 콘셉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AI 기반 이미지 생성 플랫폼입니다. 건축, 조경, 인테리어 등 시각예술 분야에서 창의적 구상 단계에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 사용 방법 : Discord 기반 채널에서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이미지가 자동 생성됨. 예) /imagine prompt : tranquil zen garden with water stream
- 특장점
- 짧은 시간 안에 수십 개의 아이디어를 시각화 가능
- 스타일, 구도, 조명 등 다양하게 조정 가능
- 초기 컨셉 디자인에 영감 제공
- 활용 팁
- 한국적 정원 디자인을 위한 키워드 예시 : "hanok courtyard with pine trees and stone path"
- 클라이언트 프레젠테이션용 무드보드 제작에도 활용
2. DALL·E 3 : 세밀한 프롬프트 조정으로 현실감 높은 이미지 제작 가능
- 개요 : OpenAI가 개발한 이미지 생성 AI로, 구체적인 묘사를 통해 디테일한 조경 이미지 생성에 적합하다. 기존의 스타일링 외에도 실제적인 풍경 재현 능력이 우수하다.
- 사용 방법 : 웹 기반으로 텍스트 프롬프트 입력 → 수 초 내 이미지 생성
- 특장점
- 텍스트 이해도가 높아 섬세한 장면 묘사가 가능
- 정원 요소(벤치, 연못, 식재 등) 배치된 장면을 빠르게 시각화
- ChatGPT와 연동 사용 시 설명과 이미지 생성 연계 가능
- 활용 팁
- 수종별 식재 구성 아이디어 시각화에 유용
- 지역 테마파크, 주택단지 등의 마스터플랜 브리핑 자료 제작에 적합
3. Twinmotion : 실시간 3D 시각화와 VR 기반 체험 제공
- 개요 : Epic Games에서 제공하는 Twinmotion은 실시간 3D 렌더링 툴로, 주로 조경과 건축 분야에서 설계된 공간을 사실감 있게 체험하고 프레젠테이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사용 방법
- CAD, SketchUp, Revit 등의 모델을 가져와 연동 가능
- 라이브러리에서 식물, 인물, 조명 등 배치
- 시간, 계절, 날씨까지 조절 가능
- 특장점
- VR 시뮬레이션 기능으로 몰입감 높은 체험 제공
- 드론 뷰, 워크스루 영상 등 클라이언트 프레젠테이션용 결과물 제작에 유리
- 활용 팁
- 조경 설계 공모전 또는 기본설계 단계에서 클라이언트 설득용으로 활용
- 사계절 변화 시뮬레이션을 통해 유지관리 계획 수립에 도움
4. Runway ML : AI 기반 영상 편집과 이미지 보정 툴
- 개요 : 영상 콘텐츠 제작과 이미지 편집을 AI로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도구. 단순한 장면 이미지 생성부터 프로모션 영상 제작까지 다양한 용도로 확장 가능.
- 사용 방법 : 웹 기반 편집기에서 텍스트, 이미지 업로드 후 AI 기능 선택 적용 (예 : 배경 제거, 스타일 변환, 텍스트 → 영상 변환)
- 특장점
- 이미지의 스타일 변경, 요소 제거·추가 등 빠르게 구현 가능
- 랜더링한 조경 이미지에 감성 필터 적용하여 클립 영상 제작 가능
- YouTube, SNS용 콘텐츠 편집에 적합
- 활용 팁
- 기존 조감도 이미지를 브랜딩에 맞는 분위기로 보정해 인쇄물 제작
-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영상 제작에 유용
5. ArchiGAN / AI 기반 CAD 도구들
- 개요 : 딥러닝 기반으로 설계 도면을 자동 보완하거나, 초기 평면계획을 제안해주는 AI 도구. 조경 디자이너에게는 배치 계획이나 공간 레이아웃 설정에 유용함.
- 사용 방법
- 초기 도면 업로드 → AI가 배치/동선 추천 → 사용자 수정 및 반영
- 일부 도구는 SketchUp, Rhino 등과 연동됨
- 특장점
- 반복 작업 감소, 설계안 다양화 가능
- 공간 효율성 개선을 위한 대안 제시
- 활용 팁
- 도면 리뷰 시 AI 추천안을 비교하며 의사결정
- 조성비, 공간 밀도 등의 시뮬레이션 참고 자료로 활용
마무리 : AI와 함께하는 조경 설계, 더 창의적이고 전략적으로
AI 툴은 조경 디자이너의 역할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더 창의적이고 전략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만드는 도구다. 초기 아이디어 단계에서의 발상 전환, 고객 커뮤니케이션, 시공 전 실감형 프레젠테이션까지—설계 전 과정에서 AI는 강력한 파트너가 될 수 있으니 각 툴의 특성과 목적을 이해하고, 프로젝트 성격에 맞는 조합을 통해 설계의 품질과 효율을 모두 높여보자.
'Landscape Design and Tren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면적률 제도, 어디까지 왔고 어디로 가야 할까 : 수원시와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0) 2025.04.16 기후위기 시대, 생태면적률 제도의 현재와 미래 : 국회포럼을 중심으로 (0) 2025.04.15 국립공원공단이 선정한 탄소흡수 우수 자생수목 10종 분석 및 활용 방안 (0) 2025.04.14 산림 품종보호권 제도, 왜 중요한가? - 제도의 개요와 활용 현황, 그리고 미래 과제 (0) 2025.04.14 자연환경보전법 개정안(2024년) 주요 내용 정리 : 자연복원과 ESG 민간참여 기반 강화 (0) 2025.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