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페셔널 조경 디자이너와 함께 조경 디자인의 기술과 트렌드 정보를 나누는 블로그입니다.

  • 2025. 4. 17.

    by. 산이사니

    목차

       

      공공·민간 공동의 녹화사업 운영 모델과 사업계획서 작성 가이드

       

       


      1. 왜 공공·민간 공동 녹화사업이 필요한가?

       

      기후위기와 도시환경 악화가 지속되면서, 녹화사업은 단순한 미관 개선을 넘어 탄소흡수, 생태복원, 지역사회 건강과 직결된 핵심 도시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단일 주체 중심의 사업은 지속 가능성·재원·유지관리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민간기업은 ESG 이행, 브랜드 이미지 제고, 사회적 책임 실천을 원하고, 공공기관은 예산 한계를 극복하면서 실효성 높은 환경개선을 추진하고자 한다.
      이 접점을 기반으로 공공·민간 협력형 녹화사업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 사업비 분담 및 확대 가능성
      • 유지관리 책임 분산 및 지속성 확보
      • 시민 참여를 통한 공동체 활성화
      • ESG 연계성과 정책성과 동시 달성

       

       


      2. 공공·민간 협력형 녹화사업 운영 모델 3가지

       

      ■ 모델 A. 지자체 주도 + 기업 후원형

      • 공공기관이 계획 수립 및 장소 제공
      • 민간이 재정 후원 및 일부 시공 참여
      • 예 : “○○그룹과 함께하는 기후숲”, “도심 텃밭 정원 캠페인”

       

      ■ 모델 B. 민간 주도 + 행정 행정지원형

      • 민간이 사업 아이디어와 운영 주체를 구성
      • 지자체는 행정 절차·부지 제공·보조금 지원
      • 예 : “주민협의체+기업 공동 벽면녹화 프로젝트”

       

      ■ 모델 C. 제3섹터 협력형 (중간지원조직 연계)

      • 조경협회, 비영리단체, 지역재단 등이 기획 주도
      • 공공·민간·주민과의 파트너십으로 다자간 협력 구조
      • 예 : “청년조경단+로컬카페+구청 공동 작은숲 조성”

       

      공공·민간 공동의 녹화사업 운영 모델
       
       
       

      3. 실전용 사업계획서 작성 가이드

       

      아래는 공공 제안, 민간 제휴 모두 활용 가능한 실전 사업계획서 구성 예시다:

      ✅ 사업 개요

      • 사업명 / 제안기관 / 대상지 / 기간 / 총예산
      • 예 : “○○구 도시골목녹화 캠페인”, 2025년 4월~10월, 3,200만 원

       

      ✅ 추진 배경 및 필요성

      • 도시환경 문제 진단 (기후위기, 미세먼지, 열섬, 심리건강 등)
      • ESG 이행 또는 정책 연계 필요성 강조

       

      ✅ 주요 목표

      • 녹지 확보 m² / 탄소흡수량 예상치 / 주민참여율 등 정량 목표 설정

       

      ✅ 실행계획 및 일정

      • 단계별 : 대상지 조사 → 설계안 마련 → 식재·시공 → 유지관리 체계 구축
      • 예 : ① 공간분석 / ② 기업 MOU 체결 / ③ 조경설계 및 식재 / ④ 평가 및 홍보

       

      ✅ 예산계획

      • 재료비, 인건비, 유지관리비, 홍보비 등 분류
      • 민간+공공 매칭펀드 구조 제시 시 신뢰도 상승

       

      ✅ 효과 예측

      • 녹지면적 확장률, 미기후 개선, 지역경제 파급효과, ESG 기여도 등

       

      ✅ 지속가능성 전략

      • 유지관리 책임 주체 명확화
      • 시민 참여 유도 장치(정기활동, 앱 모니터링 등)
      • 브랜드 이미지 활용(명칭 부여, 홍보물 비치 등)

       

       


      4. 녹화사업 제안 시 실무 팁

       

      • 정량 지표 강조 : 탄소흡수량, 투수성능, 주민참여율 등 수치 기반 설득
      • 홍보·참여 방안 포함 : 온라인 캠페인, SNS 참여 유도 등도 포함
      • ESG 보고서 연계 강조 : 기업 ESG 공시에 활용 가능성 언급
      • 중간지원조직과의 협업 제안 : 설계·기획·운영을 분산

       

       


      녹색 도시를 위한 파트너십이 필요하다

       

      도시의 녹화는 더 이상 혼자서 완성할 수 있는 프로젝트가 아니다. 공공은 공간과 제도를, 민간은 자원과 실행력을, 시민은 관심과 행동을 통해 녹색 공간을 함께 만들어나가야 한다.

      조경의 공공성과 ESG의 지속가능성이 만나는 지점에서, 공동의 녹화사업은 도시를 바꾸는 실질적인 수단이 될 것이다.

       

       

      💡 다음 글에서는 “녹지 조성의 경제적 가치 : 탄소흡수, 건강, 부동산 효과까지”를 다룰 예정이다.



      ※ 본 글은 다음 자료를 참고해 구성되었다.

      • 서울시 민간녹화 지원사업 운영 매뉴얼(2023)
      • 환경부 ESG 녹색경영 실천 가이드라인(2023)
      • 국토연구원 『도시녹화 정책 동향과 과제』(2022)
      • 독일 Green Partnership 사례 보고서, 미국 Green Streets Initiative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