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andscape Design and Trends337

바람에서 희망을 심다 : 윤선미·루원쥐엔, 2025 RHS 말번 금메달 수상 바람과 희망의 정원, 세계무대에 서다 윤선미·루원쥐엔 작가팀, 2025 RHS 말번 스프링 페스티벌 금메달 수상한국의 정원 작가들이 영국 정원예술의 중심에서 또 한 번 존재감을 드러냈다.㈜록디자인의 대표 정원작가 윤선미, 그리고 소속 아티스트 루원쥐엔(Lu Wenjuan)이 공동 출품한 작품 ‘바람의 정원(Garden of the Wind)’이 2025 RHS 말번 스프링 페스티벌(RHS Malvern Spring Festival)에서 금메달을 수상하였다.이 글은 금메달 수상의 배경과 작품 세계, 그리고 RHS 말번 페스티벌과 쇼가든 전체의 흐름까지 폭넓게 조망해보고자 한다. 2025 RHS 말번 스프링 페스티벌 : 영국 정원예술의 봄을 여는 축제RHS 말번 스프링 페스티벌은 영국왕립원예협회(RHS)가.. 2025. 5. 11.
조경기술로 기후를 설계하다 : GH의 첫 국제개발협력 이야기 GH, 키르기스스탄에 ‘탄소중립 숲’ 조성! 한국형 녹색 외교의 시작! 경기주택도시공사의 첫 국제개발협력사업과 ‘경기도 평화의 정원’ 이야기“경기도의 기후정책이 중앙아시아의 땅에 뿌리를 내리다”2025년 봄, 경기주택도시공사(GH)는 창립 이후 처음으로 국제개발협력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섰다.그 대상지는 중앙아시아의 대표 국가, 키르기스스탄(Kyrgyzstan)이다.GH가 진행하는 이번 사업은 단순한 조경사업이 아니다. 탄소중립, 기후변화 대응, 국제협력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함께 담아낸 글로벌 그린 프로젝트다.이 글은 키르기스스탄에 조성되는 ‘탄소중립 숲’의 의미와 목적, 그리고 GH가 추진해온 관련 사업 사례와 기대효과에 대해 종합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1. 탄소중립 숲이란?‘탄소중립 숲’은 나무와 녹.. 2025. 5. 10.
도시자연공원구역 재정비 ‘수정가결’, 서울시의 새로운 도시관리계획 도시 속 자연의 숨결, 다시 그리다– 도시자연공원구역 재정비 ‘수정가결’의 의미와 향후 변화 Prologue – 도시 안의 숲, 어떻게 지켜질까?매일 스쳐 지나가는 등산로, 동네 뒷산, 작은 공터.하지만 이 공간들이 사실은 우리 도시를 보호하는 '법적 장치' 속에 있었다면?서울시는 2020년 도시공원 실효 문제를 계기로 총 69.2㎢에 달하는 도시자연공원구역을 지정했고, 2025년 5월 이 구역들에 대해 보다 정교하고 현실적인 정비계획을 확정했다. 이번에 도시계획위원회를 통과한 결정(변경) 내용은 도시계획의 틀 안에서 산림 보호와 시민 편의 간 균형을 찾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도시계획위원회 ‘수정가결’ 주요 내용도시자연공원구역이란?이번 결정이 갖는 의미도시자연공원, 왜 중요한가?앞으로의 과제와 방향.. 2025. 5. 9.
2026 대입 수험생을 위한 조경학과 추천 대학 TOP 10 자연과 도시를 설계하는 조경학과, 어떤 학교를 선택할까? 도시의 숲을 설계하고, 공원을 만들며, 환경과 인간을 잇는 공간을 창조하는 학문.바로 조경학이다.이제는 단순한 조경설계가 아닌, 기후위기 대응, 탄소흡수, 도시생태 회복 등 미래형 공간기술의 중심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조경학에 관심 있는 수험생이나 전공을 고민 중인 일반인들에게, 가장 궁금한 것은 “어느 대학이 조경학과가 좋을까?”일 것이다.본 글은 전국 조경학과 개설 대학을 총정리하고, 대표 대학 10개 내외를 선정하여 입시정보, 커리큘럼, 업계 평판, 입결 수준, 매력 요인까지 분석하였다. 조경학과란? 무엇을 배우고 어디에 쓰이는가? 조경학(Landscape Architecture)은 토목, 건축, 생태, 식물학, 환경디자인 등을 융합해.. 2025. 5. 9.
2025 서울어린이정원페스티벌 완벽 가이드 – 초록빛 힐링공간 속으로! 2025 서울어린이정원페스티벌 개막! 서울 어린이대공원에서 만나는 초록빛 힐링공간 2025년 서울어린이정원페스티벌이 어린이날 다음 날인 5월 6일, 성황리에 개막했다. 서울 어린이대공원의 생태연못 일대에서 오는 18일(일)까지 펼쳐지는 이 페스티벌은 아이들의 창의력과 생태 감수성 향상을 목표로 다채로운 테마 정원을 선보이고 있다.오세훈 서울시장을 비롯해 시민 500여 명이 참석한 개막식에서 오 시장은 “정원 문화가 각광받는 시대에 접어든 지금, 정원을 통해 서울시민이 보다 가까이 자연을 느끼고 정서적 안정을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서울시의 정원 확대 계획을 밝혔다.과연 이번 서울어린이정원페스티벌은 어떤 매력과 체험거리를 선사할지 함께 살펴보자. [ 목차 ]2025 서울어린이정원페스티벌 개요아.. 2025. 5. 8.
AI로 완성하는 차세대 공간정보, 디지털 트윈국토 사업 핵심 포인트 3가지 국토부, AI 기반 디지털 트윈국토 조기실현에 5,838억 원 투자! 주요 추진사업과 기대효과는? 2025년, 정부가 5,838억 원 규모의 대대적인 공간정보 정책 사업을 추진한다. 국토교통부는 특히 디지털 트윈국토의 조기실현을 목표로 공간정보 인공지능(AI)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며, 지하공간 통합지도의 정확도와 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예정이다. 이를 통해 편리하고 안전한 국토관리 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라펜트 기사에 따르면, 올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각각 3,819억 원, 2,019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총 1,209개의 공간정보 관련 사업을 시행한다. 특히 중앙정부는 104개 사업에 약 3,800억 원을 집중 투자하고,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특성에 맞는 1,105개의 사업을 추진한다.본 글.. 2025. 5. 8.
도시의 숨통을 틔우는 녹색 혁신, 도로 공원화 그린커넥트(Green Connect) : 경인고속도로 지하화와 도로 공원화의 미래 경인고속도로 지하화를 통한 도시의 녹색 혁신, 도로 공원화 그린커넥트(Green Connect) 1. 인천시, 경인고속도로 지하화로 도시 재생에 나서다인천시는 1968년 개통된 국내 최초의 고속도로인 경인고속도로를 지하화하는 대규모 도시 재생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인천 서구 청라1동에서 서울 양천구 신월동까지 총 15.3km 구간에 지하 30m 깊이로 왕복 4차로의 고속도로를 신설하는 것으로, 총사업비 1조 3,780억 원이 전액 국비로 투입된다.지하화로 인해 기존 지상 고속도로는 일반도로로 전환되며, 인천시는 이 공간을 활용하여 녹지와 공원을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도심의 단절을 해소하고, 지역 간 연결성을 회복하며, 시민들에게 쾌적한 생활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2.. 2025. 5. 7.
당신 동네에도 숨겨진 공원이 있다? 도심 속 비밀 정원 ‘공개공지’를 아시나요? 도심 속 비밀 정원 ‘공개공지’, 동네에 숨겨진 공원에 대해 알아보자! 1. 프롤로그 – 회색 도시에서 피어난 초록의 실험매일 지나치는 거리.아무도 쳐다보지 않는 콘크리트 틈, 폐쇄적인 건물 담벼락 옆, 우연히 마주친 조그마한 정원 하나.“여긴 누구의 땅이지?”“들어가도 되는 걸까?”놀랍게도, 이 공간은 시민 모두의 것이다.건물주가 만들었지만, 시민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공공 공간. 바로 공개공지(public open space)다.2024년 말, 부산시는 이 방치된 공간들에 주목했다.오랫동안 사유화되거나 방치된 도심 속 공개공지들을 '녹색 보행길'로 엮는 실험에 나섰다.그 결과, 무심코 지나치던 골목이 정원이 되었고 닫힌 공간이 열린 길이 되었다.이제는 ‘도시 속 숨겨진 공원’을 제대로 알 때다... 2025. 5. 5.
도심 속 정원이 된 서울광장, 그 변화의 기록 : 서울 한복판, 광장이 숲이 되다 도심 속 정원이 된 서울광장, 그 변화의 기록 : 서울 한복판, 광장이 숲이 되다 [ 목차 ]서울광장, 왜 다시 봐야 할까?서울광장의 어제와 오늘, 128년의 시간2025년 봄, 서울광장이 다시 태어났다도심 속 정원 : 단순 녹지 그 이상의 의미서울광장은 지금 어떤 모습일까?변화는 계속된다 : 서울광장의 향후 계획정리하며 – “당신은 이 광장에서 무엇을 하고 싶은가요?”참고자료 및 출처 1. 서울광장, 왜 다시 봐야 할까?서울광장을 한 번이라도 지나간 사람이라면 기억할 것이다.시청 앞, 도심의 한복판. 항상 사람과 차량이 뒤섞인 분주한 풍경.하지만 이제 그곳은 다르다.2025년 4월 28일. 서울광장은 ‘광장’에서 ‘정원’으로 다시 태어났다.하루 30만 명이 오가는 서울 도심,그곳 한가운데에 사람이 머무.. 2025. 5.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