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andscape Design and Trends

[정원식물 50선] 긴산꼬리풀 : 자연의 흐름을 닮은 연보라 수직 초화의 우아함

by 산이사니 2025. 7. 24.
반응형

 

 

 

 

 

긴산꼬리풀(Veronicastrum sibiricum)은 길고 유려한 연보라색 꽃대가 매력적인 다년생 초화로, 자연형 정원과 생태정원, 드라이가든에 적합하다. 수직미, 생태적 가치, 낮은 관리 부담으로 조경가들에게 사랑받는다.

 

정원의 깊이를 더하다, 긴산꼬리풀의 선형미와 구조적 가치

 

[정원식물 50선] 시리즈 식물인 긴산꼬리풀(Veronicastrum sibiricum)은 늘씬하게 솟은 연보랏빛 꽃차례와 부드러운 잎의 조화로, 자연주의 정원에 선형미와 생태적 깊이를 더하는 고급 초화로 꼽힙니다.

긴산꼬리풀 : 자연의 흐름을 닮은 연보라 수직 초화의 우아함

 

긴산꼬리풀이란?

  • 국명 : 긴산꼬리풀
  • 학명 : Veronicastrum sibiricum
  • 과명 : 현삼과 (Plantaginaceae)
  • 원산지 : 동아시아 (한국, 중국, 일본, 시베리아 등)
  • 형태 : 다년생 초본

긴산꼬리풀은 꼬리풀류 중에서도 꽃차례가 길고 유려한 품종으로,
한국 자생 품종과 매우 유사하며 자연형 식재에 적합한 대표적인 선형 초화이다.
부드럽게 올라가는 수직 줄기 끝에 달린 연보라 꽃차례는 붓질한 듯 우아한 곡선미를 자랑한다.

 

꽃말과 상징

  • 꽃말 : “조용한 존엄”, “자연의 흐름”, “부드러운 품격”
  • 수직으로 올라가며 끝에서 살짝 휘어지는 꽃대는 자연의 곡선과 흐름을 표현하는 대표적 식물 구조미로 여겨진다.
  • 꽃은 강렬하진 않지만 정원 전체의 톤과 리듬을 잡아주는 배경 식물로 상징된다.

 

식물 특성 요약

항목 내용
꽃 색상 연보라, 연분홍, 보라
개화 시기 7월 ~ 9월
생장 높이 약 80cm ~ 130cm
잎 형태 피침형, 층층이 돌려나는 독특한 배열
수형 수직형 줄기 / 가지 분지 적음 / 군생 형태
내한성/내건성 매우 우수 / 척박한 토양에도 강함
 

정원 활용법

자연주의 정원 & 생태정원

  • 꽃차례가 너무 화려하지 않아서 배경의 톤을 맞추는 데 이상적
  • 다양한 야생화(루드베키아, 에키네시아 등)와의 군식 조화도가 높음

선형미 강조한 구조 정원

  • 높이감이 있지만 시야를 막지 않아서 중간층 초화로 탁월
  • 특히 반복 식재 시 공간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리듬감 형성

벌·나비 유도 밀원 식물

  • 꽃이 풍성하고 꿀샘이 많아 여름철 생태적 가치가 높은 밀원식물
  • 벌과 나비를 유도하는 지속가능한 정원 구성에 기여

 

생육 조건 및 관리법

  • 햇빛 : 양지~반음지 / 직광에서 개화량 증가
  • 토양 : 중간 비옥도의 사질양토 / 배수 중요
  • 물주기 : 건조에 다소 강함 / 개화 전후로 충분한 관수 필요
  • 전정 : 개화 후 꽃대 제거 시 군형 유지에 도움
  • 번식 : 종자, 포기나누기 용이 / 이식 적응력 우수
  • 비료 : 완효성 유기질 비료 봄철 1회면 충분

 

정원 연출 팁

연출 위치 활용 방법
보더 화단 중간층 질감 다른 초화 사이에서 부드러운 수직 포인트
야생화 중심 정원 에키네시아·버들마편초·자엽펜스테몬과의 조화 탁월
가로정원, 아파트 화단 반복 식재를 통해 도시적 질서감 부여
비오톱 정원 생태 다양성 높이며 수분매개자 유도 효과 높음
반응형

 

조경 전문가 한마디

“긴산꼬리풀은 보여주는 식물이기보단 정원의 구조를 만들어주는 식물이다.
그 섬세한 선 하나하나가 정원에 흐름과 여백을 만든다.”

 

요약 : 긴산꼬리풀 한눈에 보기

항목 내용
주요 특징 길고 부드러운 연보라 꽃차례 / 수직미 / 자생형 초화
주요 용도 자연주의 정원, 생태정원, 보더 정원
적합 환경 양지~반음지 / 중간 비옥도 / 배수 양호한 토양
유지관리 강건함 / 전정 간단 / 번식 쉬움

 

 

생태관광지의 비밀, 경관을 해석하는 조경가의 손길

생태관광지의 미래, 조경이 만든다! 순천만, 우포늪, 곶자왈 등 국내 생태관광지 사례를 통해 본 조경의 역할과 설계 전략. 생태복원, 탐방동선, 환경교육, 지역 연계까지 지속가능한 여행지를

sanisanee.co.kr

 

 

정원도시 서울, 회색 도시를 초록 도시로 바꾸는 전략

서울시가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정원도시 서울’ 정책. 도심 곳곳의 공터, 옥상, 벽면, 자투리 공간 등을 활용해 생활 속 정원을 조성하여 기후변화 대응, 도시 회복탄력성 강화

sanisanee.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