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디자인의 기술과 트렌드를 나누는 블로그입니다

  • 2025. 4. 4.

    by. 산이사니

    목차

       

      리질리언트 바이 디자인 공모전(Resilient by Design Challenge)

       

       

      리질리언트 바이 디자인 공모전(Resilient by Design Challenge)은 기후 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홍수, 지진 등 자연재해에 대비하여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의 회복탄력성을 강화하기 위한 국제적인 디자인 공모전이다. 이 공모전은 지역 사회, 공공 기관, 민간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연혁

      • 2017년 : 공모전 시작. 전 세계의 디자이너, 엔지니어, 조경가, 도시 계획가 등이 참여하여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의 특정 장소에 대한 회복탄력성 디자인을 제안​
      • 2018년 : 선정된 팀들이 지역 사회와 협력하여 구체적인 설계안을 개발하고 발표​

       

      리질리언트 바이 디자인 공모전

       

       

      주요 응모작 소개

       

      BIG + ONE + Sherwood 팀의 'The Islais Hyper-Creek' 프로젝트

       

      • 프로젝트 개요 : 샌프란시스코의 이슬라이스 크리크(Islais Creek) 지역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생태 복원 및 공공 공간 조성 계획​
      • 응모팀 : BIG(Bjarke Ingels Group), ONE Architecture, Sherwood Design Engineers​
      • 목표 : 산업 지역의 홍수 위험을 줄이고, 생태계를 복원하며, 지역 주민들에게 새로운 공공 공간을 제공​
      • 주요 설계방법 및 특징
        • 자연 기반의 홍수 관리 시스템 도입
        • 산업 지역의 재개발을 통해 공원 및 레크리에이션 공간 조성
        • 지역 사회와의 협력을 통한 포괄적인 계획 수립

       

      Public Sediment 팀의 'Unlock Alameda Creek' 프로젝트

       

      • 프로젝트 개요 : 알라메다 크리크(Alameda Creek) 지역의 퇴적물 흐름을 개선하여 해안선의 회복탄력성을 강화하는 계획​
      • 응모팀 : Public Sediment​
      • 목표 : 퇴적물의 자연스러운 이동을 복원하여 습지와 해안 생태계를 강화하고, 홍수 방지 및 수질 개선을 도모​
      • 주요 설계방법 및 특징
        • 퇴적물 이동 경로의 복원 및 관리
        • 생태계 복원을 위한 습지 재생
        • 지역 주민 참여를 통한 교육 및 인식 제고

       

      The Field Operations 팀의 'South Bay Sponge' 프로젝트

       

      • 프로젝트 개요 : 남부 베이 지역의 해안선을 따라 스펀지와 같은 흡수 능력을 가진 경관을 조성하여 홍수 및 해수면 상승에 대응하는 계획​
      • 응모팀 : James Corner Field Operations​
      • 목표 : 자연 기반의 인프라를 통해 물 관리를 개선하고, 생태계를 복원하며, 공공 공간을 확대​
      • 주요 설계방법 및 특징
        • 투수성 지면과 녹지대를 활용한 빗물 관리
        • 해안 생태계 복원을 위한 식생 도입
        • 지역 사회와의 협력을 통한 맞춤형 솔루션 개발

       

       

      The All Bay Collective (ABC)의 'Estuary Commons' 프로젝트

       

      • 프로젝트 개요 : 오클랜드의 저지대 지역을 대상으로 한 기후 변화 대응 및 지역 사회 강화 계획​
      • 응모팀 : The All Bay Collective (ABC)​
      • 목표 : 해수면 상승과 홍수에 대비한 주거지 보호, 지역 사회의 경제적 기회 확대, 생태계 복원​
      • 주요 설계방법 및 특징
        • 모듈형 주택 및 인프라를 통한 유연한 개발
        • 지역 주민 참여를 통한 공동 설계 및 실행
        • 자연 기반의 홍수 방어 시스템 구축

       

      The Home 팀의 'ouR-HOME' 프로젝트

       

      • 프로젝트 개요 : 노스 리치몬드(North Richmond) 지역의 해수면 상승에 대응하고, 지역 주민들의 건강과 경제적 안정을 도모
      • 응모팀 : The Home (Mithun 주도)​
      • 목표 : 해수면 상승에 대비한 인프라 구축과 동시에 지역 주민들의 건강 증진과 경제적 기회를 확대​
      • 주요 설계방법 및 특징
        • 소규모 주택 개발 : 빈 공터를 활용하여 소규모 주택을 개발함으로써 주택 소유의 진입 장벽을 낮춤​
        • 커뮤니티 랜드 트러스트 : 지역 주민들이 토지를 공동 소유하여 장기적인 주택 안정성을 확보​
        • 녹색 인프라 : '마시 투 메인 스트리트(marsh to Main Street)' 개념의 수평 제방(horizonal levee) 도입, 20,000그루의 나무 식재를 통해 공기와 수질 개선
        • 지역 일자리 창출 : 기존의 지역 일자리 및 경력 개발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위의 전략들을 실행함으로써 지역 주민들에게 직접적인 혜택을 제공

       

      Common Ground 팀의 ' The Grand Bayway ' 프로젝트

       

      • 프로젝트 개요 : 샌프란시스코 북부의 State Route 37(SR37)은 홍수와 교통 혼잡에 취약한 구간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경관 도로(scenic causeway)를 제안, 기존 도로를 고가화하여 조류 흐름과 습지 이동을 복원하고 차량, 자전거, 보행자 모두에게 접근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응모팀 : Common Ground
      • 목표 : SR37의 교통 문제 해결홍수 위험 감소, 생태계 복원, 지역 주민들에게 새로운 공공 공간 제공
      • 주요 설계방법 및 특징
        • 고가 도로 설계 : SR37을 20피트 높이의 고가 도로로 재설계하여 조류 흐름과 습지 복원을 촉진​
        • 다양한 교통 수단 통합 : 차량뿐만 아니라 자전거, 보행자, 기차 등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통합 교통 시스템 구축​
        • 생태계 복원 : 습지와 조류 서식지 복원을 통해 생물 다양성을 증진, 지역의 생태적 가치 회복
        • 공공 접근성 향상 : 지역 주민들과 방문객들이 자연을 즐길 수 있도록 산책로, 자전거 도로, 공원 등을 조성하여 공공 공간 확대

       

      HASSELL 팀의 'Collect & Connect: Resilient South San Francisco' 프로젝트

       

      • 프로젝트 개요 : 사우스 샌프란시스코 지역의 홍수 관리 및 생태 복원 계획​
      • 응모팀 : HASSELL
      • 목표 : 홍수 위험 감소, 생태계 복원, 공공 공간 개선​
      • 주요 설계방법 및 특징
        • 빗물 저장 및 재활용 시스템 구축
        • 자연 서식지 복원을 통한 생물 다양성 증진
        • 지역 주민 참여를 통한 공원 및 오픈 스페이스 디자인

       

      Bionic 팀의 'Elevate San Rafael' 프로젝트

       

        • 프로젝트 개요 : 산 라파엘 지역의 해수면 상승 대응 및 교통 인프라 개선 계획​
        • 응모팀 : Bionic
        • 목표 : 교통 혼잡 완화, 홍수 방지, 지역 경제 활성화​
        • 주요 설계방법 및 특징
          • 도로 및 철도 시스템의 고도화
          • 친환경 대중교통 옵션 도입
          • 혼합 사용 개발을 통한 상업 및 주거 공간 확대

       

       

       

      각 프로젝트는 지역의 특성과 필요에 맞는 맞춤형 솔루션을 제시하며, 지역 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실현 가능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도시 설계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