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페셔널 조경 디자이너와 함께 조경 디자인의 기술과 트렌드 정보를 나누는 블로그입니다.

  • 2025. 4. 3.

    by. 산이사니

    목차

      세계적인 조경가와 주목할 만한 현대 조경가 20인 소개

       

       

      본 글에서는 조경 설계와 도시 환경 디자인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는 조경가 10인과, 최근 주목받고 있는 신진 및 현대 조경가 10인을 각각 선정하여 이들의 국적, 선정 이유, 설계 스타일, 주요 활동 내용, 대표작품 등을 소개한다.(작가 선정은 온전히 개인적인 견해이며, 이외에도 현대 조경의 발전에 지대한 역할을 하고 있는 많은 조경가가 있음을 밝힌다)

       

      세계적인 조경가와 주목할 만한 현대 조경가 20인

       

       

      세계적인 조경가 10인

       

      피터 워커 (Peter Walker, 미국)

      • 선정 사유 : 50년 이상 활동하며 현대 조경 설계의 패러다임을 제시한 선구자
      • 설계 스타일 : 미니멀리즘, 기하학적 구성, 상징성과 질서 중시
      • 활동 내용 : PWP Landscape Architecture 창립자, 도시 공공공간 및 기념비 설계
      • 대표작품 : 9/11 메모리얼(뉴욕), 텍사스 롯데타워 조경, 삼성 서초사옥 외부 공간

       

      로렌스 할프린 (Lawrence Halprin, 미국)

      • 선정 사유 : 사용자 중심의 참여 설계 방식 도입으로 도시 재생에 기여
      • 설계 스타일 : 동선 중심의 유기적 형태와 상호작용 강조
      • 활동 내용 : 공공광장, 공원, 워터프런트 개발 중심 활동
      • 대표작품 : 유니언 광장(샌프란시스코), 프랭클린 델라노 루스벨트 기념관

       

      이사무 노구치 (Isamu Noguchi, 미국/일본)

      • 선정 사유 : 조각과 조경을 융합한 예술적 설계로 조경의 예술 영역 확대
      • 설계 스타일 : 추상적이고 조형적인 공간미학
      • 활동 내용 : 정원, 공공 조형물, 미술관 외부 공간 설계
      • 대표작품 : 노구치 정원 미술관, 히로시마 평화공원 조형물

       

      가레스 도허티 (Gareth Doherty, 아일랜드)

      • 선정 사유 : 사회-생태적 접근을 기반으로 한 지속가능한 조경 이론 개발
      • 설계 스타일 : 생태 기반 계획, 컬러 이론 기반 공간 구성
      • 활동 내용 : 하버드 GSD 교수, 중동 및 남미 지역 연구 중심
      • 대표작품 : 바레인 녹지 마스터플랜, 도하 생태도시 구상

       

      캐서린 구스타프슨 (Kathryn Gustafson, 미국)

      • 선정 사유 : 감성적 곡선과 조형성을 통해 인간 중심 조경을 표현
      • 설계 스타일 : 부드러운 곡선, 물과 지형의 유기적 결합
      • 활동 내용 : Gustafson Porter + Bowman 설립, 공공공간 설계 다수
      • 대표작품 : 다이애나비 추모공원(런던), 워싱턴 국립기념공원

       

      콘 웡( Kongjian Yu, 중국)

      • 선정 사유 : 스펀지 시티 이론을 제시하며 생태 복원형 도시조경 확산에 기여
      • 설계 스타일 : 생태기반, 저관리형 경관, 농경지 미학 활용
      • 활동 내용 : 터빈 디자인 대표, 베이징대 교수, 정부 정책 자문
      • 대표작품 : 옌타이 생태공원, 시안 하천 복원 프로젝트

       

      마사 슈왈츠 (Martha Schwartz, 미국)

      • 선정 사유 : 대담한 색채와 형태를 통한 도시 경관의 미적 전환 시도
      • 설계 스타일 : 포스트모던, 색채 중심, 실험적 요소 강조
      • 활동 내용 : MSA 대표, 전 세계 공공 디자인 프로젝트 수행
      • 대표작품 : 독일 라이프치히 BMW 공장 외부, 맨체스터 가든

       

      미셸 데비뉴 (Michel Desvigne, 프랑스)

      • 선정 사유 :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경관 전략으로 유럽 도시 경관계획 주도
      • 설계 스타일 : 단순함, 구조적 식재, 시간의 흐름 반영
      • 활동 내용 : 프랑스 국립 조경가 협회 활동, 도시계획 자문
      • 대표작품 : 파리 리브 고슈, 리옹 코네르 습지

       

      조지 하그리브스 (George Hargreaves, 미국)

      • 선정 사유 : 산업 폐기지를 예술적 공원으로 전환한 리더
      • 설계 스타일 : 대지예술, 친환경 설계, 복원 기반 조경
      • 활동 내용 : Hargreaves Associates 창립자, 미국 도시 설계 프로젝트 다수
      • 대표작품 : 루이빌 워터프런트 파크, 시드니 올림픽 공원

       

      아돌포 나탈리니 (Adolfo Natalini, 이탈리아)

      • 선정 사유 : 건축과 조경의 통합적 접근으로 유럽 도시공간 재정의
      • 설계 스타일 : 고전적 요소와 현대적 감각의 결합
      • 활동 내용 : 슈퍼스튜디오 창립 멤버, 이탈리아 도시재생 프로젝트 참여
      • 대표작품 : 피렌체 역사도시 재정비, 사보나 항구 재개발

       

       

      주목할 만한 현대 조경가 10인

       

      케이트 오르프 (Kate Orff, 미국)

      • 선정 사유 : 레질리언트 디자인과 사회적 조경 실천의 선두주자
      • 설계 스타일 : 생태 기반, 사회 참여적 접근
      • 활동 내용 : SCAPE 대표, 해안 복원 및 재해 대응 설계
      • 대표작품 : 리빙 브레이크워터스(스태튼 아일랜드), 노퍽 해안 회복 계획

       

      줄리안 릭스턴 (Julian Rixson, 뉴질랜드)

      • 선정 사유 : 뉴질랜드의 원주민 문화와 생태 복원을 융합한 설계로 국제적 주목을 받음
      • 설계 스타 일 : 문화 기반 생태 디자인, 지속가능한 식생 시스템 중시
      • 활동 내용 : 태즈먼 생태 회복 프로젝트와 마오리 커뮤니티 협업
      • 대표작품 : 와이카토 강변 복원 프로젝트, 오클랜드 생태문화공원

       

      크리스 리드 (Chris Reed, 미국)

      • 선정 사유 : 경관의 정치성과 회복력을 탐구한 혁신적 설계자
      • 설계 스타일 : 다기능적, 전략적 조경계획
      • 활동 내용 : Stoss Landscape Urbanism 설립자, 하버드 GSD 교수
      • 대표작품 : 디트로이트 리버프론트 재개발, 미니애폴리스 워터워크

       

      다이애나 발모리 (Diana Balmori, 미국)

      • 선정 사유 : 조경과 도시계획의 경계를 허문 통합적 비전 제시
      • 설계 스타일 : 생태적 미학, 실험적 접근
      • 활동 내용 : Balmori Associates 설립자, 도시 회복력 설계 연구
      • 대표작품 : 뉴욕 포드햄 플라자, 스페인 빌바오 강변 재개발

       

      켄 스미스 (Ken Smith, 미국)

      • 선정 사유 : 실험적 재료와 현대적 미학을 결합한 독창적 설계
      • 설계 스타일 : 팝 아트적 요소, 도시 예술 기반 조경
      • 활동 내용 : Ken Smith Workshop 대표, 뉴욕 중심 활동
      • 대표작품 : 뉴욕 MOMA 옥상정원, 오렌지 카운티 행정센터

       

      제임스 코너 (James Corner, 미국)

      • 선정 사유 : 하이라인 파크를 통해 도시 재생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
      • 설계 스타일 : 인프라+생태+예술 융합형
      • 활동 내용 : Field Operations 설립, 글로벌 도시재생 프로젝트 주도
      • 대표작품 : 하이라인 파크, 시카고 네이비 피어

       

      마이클 블라이어 (Michael Blier, 미국)

      • 선정 사유 : 도시 수경 시스템과 생태기반 디자인 통합에 탁월
      • 설계 스타일  : 기능적 물관리, 구조적 조경 구성
      • 활동 내용 : Landworks Studio 설립, 교육 및 실무 병행
      • 대표작품 : MIT 캠퍼스 재개발, 보스턴 수변 복합시설

       

      라파엘 레이몬드 (Raphaël Raymond, 벨기에)

      • 선정 사유 : 유럽 도시 내 저탄소 녹색 인프라 전략을 선도함
      • 설계 스타일 : 경량형 인프라, 저관리 생물다양성 조성
      • 활동 내용 : EU 그린시티 정책 자문, 브뤼셀 도시녹화 프로그램 운영
      • 대표작품 : 브뤼셀 비오토프 연결 프로젝트, 앤트워프 기후숲

       

      탁 케리 (Tak Kerri, 캐나다)

      • 선정 사유 : 원주민 문화와 환경 설계를 결합한 경관 해석
      • 설계 스타 일 : 문화경관, 자연 기반 해석 강조
      • 활동 내 용 : 원주민 협력 프로젝트 중심, 캐나다 국립공원 설계
      • 대표작품 : 유콘 원주민 문화공원, 토론토 도시수림 재조성

       

      리암 헨리슨 (Liam Henrickson, 호주)

      • 선정 사유 : 기후변화 대응형 조경 설계에 주력
      • 설계 스타일 : 물순환 중심, 레질리언스 기반 설계
      • 활동 내용 : 호주 연방정부 자문, 홍수 대응 조경계획 수립
      • 대표작품 : 브리즈번 하천 복원 프로젝트, 시드니 그린인프라 계획

       

       

      이 글은 전 세계 조경 설계계에 큰 영향을 미친 조경가와, 앞으로의 변화를 이끌어갈 현대 조경가들을 알아보았다. 이들의 작업은 도시공간의 질적 향상, 생태적 회복력, 사회적 포용성 등 다방면에서 조경의 중요성을 증명하며, 조경 설계의 현재와 미래를 동시에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