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andscape Design and Trends290

[정원식물 50선] 에메랄드그린 : 사계절 푸른 원추형 정원의 대표수목! 정원수로 인기 높은 에메랄드그린! 사계절 푸른 침엽수로 울타리, 경계 식재에 탁월하며 변치 않는 마음과 보호의 상징을 지닌 대표 조경수다. 생육 조건부터 관리법, 활용 팁까지 완전 정리! 에메랄드그린, 정원에 시선과 구조를 더하는 수직 수목의 미학 정원에 사계절 내내 푸름을 유지하고 싶다면? 그리고 그 푸름이 단지 수평이 아닌, 수직적인 구조감을 줄 수 있다면 더욱 이상적인 조경수일 것이다. 오늘 소개할 ‘에메랄드그린(Emerald Green)’은 그러한 정원 디자이너의 바람을 완벽히 충족시키는 대표 수목이다. 단정한 원추형 수형과 사철 푸른 잎, 그리고 뛰어난 조경 기능까지 겸비한 ‘정원수의 교과서’라 할 수 있다. 에메랄드그린 기본 정보학명 : Thuja occidentalis ‘Smaragd’.. 2025. 6. 26.
[정원식물 50선] 털수염풀 : 바람과 시간의 흐름을 담는 가을 정원 그라스 가을 정원의 움직임을 디자인하는 털수염풀! 바람에 흔들리는 수염 모양 꽃차례로 자연주의 정원에 생동감을 불어넣는다. 생육 환경, 조경 활용법, 꽃말과 식재 팁까지 완전 정리! 털수염풀, 바람에 춤추는 가을빛 실루엣, 정원의 선을 디자인하다 조용한 가을 정원.바람이 스칠 때마다 하늘거리는 얇은 줄기 위로 수염처럼 흩날리는 꽃차례가 시선을 잡아끈다.오늘 소개할 식물은 바로 털수염풀이다.은은한 존재감으로 정원의 배경과 중심을 동시에 책임지는 이 식물은 자연주의 정원·초지원·경계부 식재에 탁월하며,조형적 가치와 생태적 기능을 고루 갖춘 디자이너형 그라스로 주목받고 있다. 털수염풀의 기본 정보학명 : Pennisetum alopecuroides과명 : 벼과 (Poaceae)형태 : 여러해살이풀 / 숙근성 초본원.. 2025. 6. 25.
[정원식물 50선] 자주꽃방망이 : 여름에서 가을까지 피어나는 정원의 보랏빛 리듬 한국 자생식물 자주꽃방망이는 여름부터 가을까지 피어나는 보랏빛 야생화로, 자연주의 정원·건조지·경계식재에 적합하다. 생육 조건, 식재 팁, 꽃말까지 완벽 정리! 정원 속 자연의 리듬, 자주꽃방망이의 활용법과 꽃말 총정리 산과 들에 피어난 자주빛 꽃.하지만 그 고운 자태는 야생에만 어울리는 것이 아니다.도심의 정원 한 켠에서도, 콘크리트 옆 경계선에서도 조용한 생명력과 리듬을 불어넣는 정원식물이 있다.오늘 소개할 식물은 바로 자주꽃방망이다.잔잔하고 부드럽게, 하지만 오랫동안 피어나는 이 꽃은 정원의 시간과 계절을 연결하는 식물이라 할 수 있다. 자주꽃방망이의 기본 정보학명 : Scabiosa japonica과명 : 마타리과 (Caprifoliaceae)형태 : 여러해살이풀 / 숙근초 / 야생화분포 : 한.. 2025. 6. 24.
[정원식물 50선] 큰꿩의비름 : 가을 정원을 수놓는 다육질 생명력 큰꿩의비름은 두꺼운 잎과 핑크빛 꽃으로 가을 정원의 포인트가 되는 식물입니다. 이 식물은 두터운 잎, 높은 내건성, 군생하는 붉은꽃이 특징이며, 도심 생태정원과 건조지 녹화, 벌 유인 밀원 정원에 특히 적합한 다년생 초화입니다. 생태정원·도시정원·밀원식물로 뛰어난 활용도를 가진 이 다년생 식물의 특징과 관리법을 소개합니다. 가을색 가득한 정원 만들기, 건조하고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는 큰꿩의비름큰꿩의비름이란?국명 : 큰꿩의비름학명 : Hylotelephium spectabile (Syn. Sedum spectabile)과명 : 돌나물과 (Crassulaceae)원산지 : 동북아시아 (한국, 중국, 일본)형태 : 다년생 다육초본 / 군생형큰꿩의비름은 다육질의 넓은 잎을 지닌 다년생 초화로, 여름에서 가.. 2025. 6. 23.
[정원식물 50선] 살비아 네모로사 : 긴 여름을 수놓는 보라빛 꿀길 여름부터 가을까지 보라빛 꽃이 이어지는 다년생 허브, 살비아 네모로사. 나비와 벌을 유혹하는 강한 향기와 긴 개화기간, 정원에서의 활용법과 관리법까지 상세히 소개합니다. 정원 속 퍼플 웨이브, 숙근샐비어 ‘살비아 네모로사’살비아 네모로사란?국명 : 살비아 네모로사 (숙근샐비어, 숙근사루비아)학명 : Salvia nemorosa과명 : 꿀풀과 (Lamiaceae)원산지 : 유럽 및 서아시아다른 이름 : 세이지(Sage)의 일종, 퍼플샐비어, 블루세이지살비아 네모로사는 긴 보라빛 꽃대와 강한 향기로 정원을 장식하는 대표적인 다년생 숙근 허브다. 특히 나비와 벌을 유도하는 밀원식물로, 생태정원과 조경 설계에서 널리 활용된다. 유래와 어원Salvia는 라틴어 salvare에서 유래한 말로 “치유하다”를 뜻하며,.. 2025. 6. 22.
[정원식물 50선] 파니쿰 ‘노스윈드’ : 직립의 미학, 도심 정원에 바람을 세우다 파니쿰 ‘노스윈드’는 세로선 구조와 강한 생명력으로 조경 디자이너들이 사랑하는 대표 그라스입니다. 도시정원과 생태정원에 모두 어울리는 이 식물의 특징, 활용법, 관리팁을 소개합니다. 은빛 잎과 황금빛 꽃차례, 파니쿰 ‘노스윈드’ 사계절 미학파니쿰 ‘노스윈드’란?국명 : 파니쿰 ‘노스윈드’학명 : Panicum virgatum ‘Northwind’과명 : 벼과 (Poaceae)원산지 : 북아메리카형태 : 다년생 초본 / 직립형 그라스파니쿰 ‘노스윈드’는 본래 초원에서 자라는 스위치그라스(Switchgrass)의 원예종 중 하나로, 곧게 솟은 줄기와 은청빛 잎이 특징이다. 특히 바람에 흔들리지 않는 직립성을 갖춰 도시조경이나 군식(무리 식재)에 적합하다. 식물 특성 요약항목내용잎 색상은청색 → 가을엔 황금빛.. 2025. 6. 21.
[정원식물 50선] 은쑥 : 은빛 정원 텍스처의 마법사 쑥이라고 다 같은 쑥이 아니다! 은쑥은 독특한 은빛 잎과 뛰어난 내건성으로 정원에 고급스럽고 안정된 분위기를 더하는 피복형 초본이다. 조경 디자이너들이 사랑하는 이 식물의 활용법과 관리법을 소개한다. 정원 디자이너들이 사랑하는 배경 식물, 은쑥 활용 가이드은쑥이란?국명 : 은쑥학명 : Artemisia ludoviciana (대표 품종: ‘Valerie Finnis’, ‘Silver Queen’ 등)과명 : 국화과 (Asteraceae)원산지 : 북아메리카형태 : 다년생 초본 / 지하경으로 퍼지는 피복형은쑥은 부드러운 흰빛이 도는 잎으로 잘 알려진 정원식물이다. 햇빛을 반사하는 은빛 텍스처는 시각적으로 매우 강력하며, 계절 내내 안정된 색을 유지한다. 일반적인 쑥과 달리 강한 향은 없지만, 잔디 대체,.. 2025. 6. 20.
2025 남도 수국축제 완전 정복! 고흥·담양·해남 민간정원 7선 여행 가이드 전라남도에서 열리는 2025 남도 K-가든 페스티벌! 고흥 쑥섬, 담양 죽화경, 해남 포레스트 수목원 등 민간정원 7곳에서 펼쳐지는 형형색색 수국축제를 소개합니다. 여행 팁부터 포토존까지 완벽 가이드 제공! 수국 명소 7선! 남도의 정원에서 펼쳐지는 형형색색 수국축제 총정리고흥 쑥섬부터 해남 포레스트 수목원까지, 전남 민간정원·수목원에서 즐기는 수국의 향연 ‘남도 K-가든 페스티벌’이란?전라남도는 2025년 여름, 지역 대표 민간정원과 민간수목원을 중심으로 ‘남도 케이(K)-가든 페스티벌’을 공식 개최하였다.이 축제는 전남 전역의 아름다운 정원을 하나의 관광자원으로 연결하는 정원문화 진흥 프로젝트로, 이번 여름 테마는 바로 ‘수국(水菊)’이다.기간 : 6월 중순 ~ 8월 말 (두 달 보름간)장소 : 고흥.. 2025. 6. 20.
[정원식물 50선] 꼬리풀 : 꽃 피는 보랏빛 꼬리, 여름 정원의 곤충호텔 보랏빛 꽃이 길게 피어나는 꼬리풀은 꿀벌과 나비가 사랑하는 대표 밀원식물입니다. 여름~가을 정원의 생물다양성 증진과 시각 포인트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꼬리풀의 매력을 소개합니다. 꽃도 꿀도 가득! 정원 필수 식물, 꼬리풀 활용법 꼬리풀이란?국명 : 꼬리풀학명 : Pseudolysimachion linariifolium (Pallas ex Link) Holub과명 : 현삼과 (Scrophulariaceae 또는 Plantaginaceae)원산지 : 동북아시아 (한국, 중국, 몽골 등)형태 : 다년생 초본꼬리풀은 이름 그대로 꽃차례가 길게 늘어지거나 곧게 솟아 동물의 꼬리를 닮았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여름철 줄기 끝에서 푸른빛이 도는 보라색 꽃이 총상으로 길게 달려 정원의 수직선을 형성해준다.꽃말과 상.. 2025. 6.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