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andscape Design and Trends290

[정원식물 50선] 박하(민트) : 향기와 생태를 품은 정원의 만능 허브 박하(민트)는 향기, 약용성, 밀원 기능까지 갖춘 대표적인 허브 식물이다. 번식력과 생육력이 뛰어나며, 정원과 텃밭의 공생 식물로서 다양한 용도에 활용된다. 박하의 특성과 재배법, 정원 응용법을 자세히 소개한다. 허브, 밀원, 방충까지 가능한 식물, 박하(민트)의 모든 것 박하(민트)란?국명 : 박하 또는 민트학명 : Mentha spp.과명 : 꿀풀과 (Lamiaceae)원산지 : 유럽 및 아시아 전역형태 : 다년생 초본 허브민트는 ‘Mentha’ 속에 속한 다수의 식물 종의 총칭으로, 대표적으로 스피어민트, 페퍼민트, 애플민트, 초콜릿민트 등이 있다.강한 향과 항균 성분, 냉감 효과를 가진 정원 허브로 관상, 약용, 식용, 생태적 기능까지 겸비한 다재다능한 식물이다. 향기와 꽃말민트의 향기는 시.. 2025. 7. 11.
[정원식물 50선] 미국미역취 : 그늘 속에 피는 별빛, 정원의 숨은 주연 미국미역취는 그늘과 반그늘에서도 잘 자라는 다년생 가을 야생화입니다. 작은 흰 꽃이 별처럼 흩날리며 정원에 부드러운 생기를 불어넣고, 꿀벌과 나비를 유도하는 생태정원 식물로도 손꼽힙니다. 늦가을 정원의 마지막 별, 미국미역취(Eurybia)의 매력 미국미역취란?국명 : 미국미역취학명 : Eurybia divaricata과명 : 국화과 (Asteraceae)원산지 : 북미 동부형태 : 다년생 초본 (야생화형 초화류)미국미역취는 일반적인 가을 정원 식물과 달리 강한 햇빛보다 반그늘~음지에서도 잘 자라는 특이한 성질을 지녔다.초여름부터 가을까지 잎이 무성하게 자라며, 9~10월이 되면 하얗고 작은 별 모양의 꽃들이 줄기 끝에 수없이 피어나 정원을 덮는다.이 식물은 자연스러운 느낌의 내추럴 가든, 산책로 주변.. 2025. 7. 10.
제이드가든 ‘힐링 패키지’로 재조명! 정원과 쉼이 공존하는 숲속 명소 춘천 제이드가든에서 새롭게 선보인 ‘제이드 힐링 패키지’를 소개합니다. 정원 조경, 힐링 프로그램, 이용 팁까지 완벽 정리! 제이드가든, 숲속에서 만나는 힐링의 정원– 제이드 힐링 패키지 개시와 함께 다시 주목받는 이유숲이 품은 정원, 정원이 품은 쉼표.이제 단순한 관광을 넘어 ‘쉼’이 있는 정원문화가 시작된다. 왜 우리는 ‘자연 속 정원’으로 향하는가?빠르게 변하는 도시의 일상 속에서 ‘잠시 멈춤’의 시간이 필요할 때가 있다. 특히 심리적 웰빙과 회복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요즘, 단순한 관광지가 아닌 쉼과 치유의 공간, 다시 말해 ‘정원’이 주목받고 있다.이 가운데 강원도 춘천에 위치한 ‘제이드가든(Jade Garden)’은 아름다운 식물과 숲, 정원, 그리고 최근 새롭게 선보인 ‘제이드 힐링 패키지.. 2025. 7. 9.
[정원식물 50선] 붉은꽃뱀무 : 여름에서 가을까지 피어나는 붉은 선의 리듬 붉은꽃뱀무는 길게 솟은 붉은 꽃대와 오랜 개화 기간으로 정원에 계절의 흐름을 더하는 다년생 초화이다. 자연주의 정원과 생태정원에서 주목받는 붉은꽃뱀무의 특성과 활용법을 자세히 소개한다. 계절의 흐름을 시각화하다, 선형이 아름다운 붉은꽃뱀무 식재 가이드 붉은꽃뱀무란?국명 : 붉은꽃뱀무학명 : Persicaria amplexicaulis과명 : 마디풀과 (Polygonaceae)원산지 : 히말라야, 중앙아시아 고산지대형태 : 다년생 초본붉은꽃뱀무는 줄기 끝에 수직으로 솟아오른 붉은 꽃대가 특징인 다년생 식물로, 개화기간이 6~10월까지 길고, 자연스러운 군락 식재와 생태정원에 자주 활용된다.꽃은 길고 얇은 붉은 수상화 형태로 피며, 바람에 흔들리는 동적인 경관을 만들어내는 것이 큰 특징이다. 꽃말과 식물 .. 2025. 7. 9.
서울 도심 속 물놀이장 추천! 여름을 식혀줄 서울 물놀이장 TOP 7 서울에서 즐길 수 있는 도심형 물놀이장 추천! 뚝섬한강공원, 서울숲, 광화문 바닥분수 등 여름 피서지 총정리. 서울 도심 속 물놀이 명소 추천! 여름을 식혀줄 서울 물놀이장 TOP 7올여름, 더위 피할 곳 찾고 계신가요?멀리 가지 않아도, 서울 한복판에서 물놀이 즐길 수 있는 곳들이 이렇게나 많습니다! 올해 여름, ‘도심 속 물놀이’가 대세다2025년 여름은 예년보다 더 길고 강한 폭염이 예상되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6~8월 서울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1~2도 높고, 열대야 일수도 역대 최장 기록에 근접할 것으로 예보됐다.이런 상황에서 아이들과 함께할 가족 나들이, 친구들과의 짧은 휴가, 혼자만의 피서지를 고민하고 있다면?굳이 바다나 계곡까지 갈 필요 없이 서울 한복판에서도 시원하게 물놀이를 즐.. 2025. 7. 8.
[정원식물 50선] 꼬랑사초 : 그늘을 살리는 정원 지피식물의 완성 음지 정원의 필수 지피식물, 꼬랑사초! 줄무늬 잎과 강한 내음성으로 조경디자이너들이 선택하는 실용 식물이다. 생육 조건, 식재 팁, 꽃말과 상징까지 꼬랑사초에 대해 완벽 정리했다. 꼬랑사초, 그늘을 밝히는 구조적 그라스, 정원 지피의 숨은 주역 정원 식재에서 가장 어렵고 까다로운 공간 중 하나는 음지 또는 반그늘이다. 대부분의 식물이 햇빛을 필요로 하기에, 그늘진 공간은 식재가 단조롭고 텅 빈 공간이 되기 쉽다.그러나 이런 곳에서도 독특한 색감과 구조감을 유지하며 자라나는 식물이 있다. 오늘 소개할 식물은 바로 꼬랑사초다. 단순한 풀처럼 보이지만, 정원에 안정감과 리듬을 더해주는 이 식물은 정원 디자이너들이 가장 자주 선택하는 음지용 지피식물 중 하나다. 꼬랑사초의 기본 정보학명 : Carex side.. 2025. 7. 8.
[정원식물 50선] 카밀레(저먼 캐모마일) : 향기로 치유하는 정원의 허브 카밀레(저먼 캐모마일)는 향기로운 꽃과 약용 효과, 밀원기능을 두루 갖춘 다기능 정원 허브입니다. 꿀벌을 불러들이는 생태정원식물로서, 그리고 사람에게 치유를 전하는 향기 허브로서, 정원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품고 있는 카밀레의 특징과 활용법을 깊이 있게 소개합니다. 사과향 가득한 허브정원 만들기, 카밀레(저먼 캐모마일)의 모든 것 카밀레(저먼 캐모마일)란?카밀레(Chamomile)는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사용되어 온 유서 깊은 허브로, 그리스어 chamai("땅") + melon("사과")에서 유래한 이름처럼 사과 향이 나는 땅 위의 식물을 의미한다.현대 정원에서 널리 사용되는 ‘카밀레’는 주로 저먼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la)을 지칭하며, 때로는 로만 캐모마일(Chamaemelum.. 2025. 7. 7.
[정원식물 50선] 꽃고비, 그늘 속 정원을 물들이는 잎의 미학 꽃고비는 신엽의 붉은빛과 부드러운 선형으로 정원의 음지에 생명을 불어넣는 대표적인 양치식물이다. 낮은 관리 부담, 강한 생존력, 사계절 경관 효과까지 갖춘 꽃고비의 정원 활용법을 소개한다. 정원에 자연미를 더하는 양치식물, 꽃고비 식재 가이드 꽃고비란?국명 : 꽃고비학명 : Dryopteris erythrosora과명 : 면마과 (Dryopteridaceae)원산지 : 동아시아 (한국, 일본, 중국 등)형태 : 상록성 또는 반상록성 양치식물꽃고비는 꽃이 피지 않는 양치식물(fern)이지만, 봄에 돋아나는 신엽은 붉은빛이 돌고 시간이 지나며 점차 연두~녹색으로 변해 잎 자체가 꽃처럼 장식적인 식물이다.또한 땅을 따라 자라는 형태 덕분에 음지 정원에서 그라운드 커버 역할까지 수행한다. 꽃말과 상징성꽃고.. 2025. 7. 6.
[정원식물 50선] 붉은숫잔대 : 물가를 물들이는 분홍빛 야생화 붉은숫잔대는 수변 정원과 생태하천 조성에 필수적인 자생 야생화입니다. 긴 개화기간, 강한 번식력, 그리고 분홍색 꽃의 아름다움까지 갖춘 이 식물은 정원에서 생물다양성과 시각미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최고의 수변식물입니다. 정원의 수변을 완성하는 자생 식물, 숫잔대의 모든 것 붉은숫잔대란?국명 : 붉은숫잔대 (통칭 숫잔대 포함)학명 : Lythrum anceps (syn. Lythrum salicaria L.)과명 : 부처꽃과 (Lythraceae)원산지 :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 지역형태 : 다년생 초본 (습지식물)붉은숫잔대는 이름처럼 붉은빛(분홍~자주)의 꽃을 피우며, 수변, 논둑, 하천변 등 습윤한 장소에서 자생하는 대표적인 한국의 야생화다.여름철 장마 기간에도 흔들림 없이 꽃을 피우며, 줄기.. 2025. 7.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