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페셔널 조경 디자이너와 함께 조경 디자인의 기술과 트렌드 정보를 나누는 블로그입니다.

  • 2025. 4. 10.

    by. 산이사니

    목차

       

      한국 전통 정원의 미, 현대 조경에 녹여내는 3가지 방법

       

       

      한국 전통 정원은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중심으로 한 공간예술이다. 단순히 식재와 구조물의 배치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철학과 미학, 삶의 태도가 스며든 정원 양식이다. 현대 조경 설계자들에게 있어 이러한 전통의 요소들을 지금의 공간에 어떻게 조화롭게 녹여낼 것인가는 중요한 과제다.

      이번 글에서는 전통 조경양식을 현대 조경에 적용하는 대표적인 방법 3가지를 살펴보고, 실제 구현 사례 중 하나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전통정원 전시 ‘미음완보(微吟緩步)’를 소개한다.

       

       

       

      차경(借景)과 비움의 미학, 공간 구조로 풀어내기

       

      전통 정원의 핵심은 ‘자연을 빌려오다’는 차경(借景)이다. 인공 구조물 속에서도 자연의 일부를 끌어들이는 방식으로, 창밖의 산, 정원 너머의 숲, 먼 하늘까지도 설계 요소로 인식한다.

      • 현대 적용 예 : 건물 내 중정 설계 시 바깥 풍경을 끌어들이는 큰 창, 공원 내 자연지형을 그대로 보존한 관망 쉼터
      • 미적 효과 : ‘비움’과 ‘여백’의 조화를 통해 공간의 긴장과 이완, 사유의 여지를 만든다

      이러한 구조는 단순히 예쁜 경관을 넘어서, 정신적인 휴식처로서의 정원 기능을 강화한다.

       

       

       

      재료와 수종의 현대적 해석, 지역성 회복

       

      전통 정원에서는 돌, 나무, 흙, 물 같은 자연재료가 강조된다. 특히 담장과 축대는 굳이 직선을 따르지 않고, 물길은 흐름을 따라 구불구불 놓이며, 식재도 엄격한 중심축이 아닌 자연스러운 분산이 특징이다.

      • 현대 적용 예 : 콘크리트 대신 통기성과 질감을 살린 투수 포장재, 한옥 마감재 활용한 시설물 디자인, 지역 자생수종 위주의 식재
      • 효과 : 인공적인 경계가 아닌, ‘풍경과 섞이는 공간’으로의 전환 가능

      이러한 접근은 생태성과 지속가능성 측면에서도 매우 높은 평가를 받는다.

       

       

       

      디지털 기술을 통한 정원의 재해석 : 실감형 콘텐츠의 등장

       

      전통정원의 철학과 아름다움을 현대인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적 접근이 필요하다. 그 대표 사례가 바로 최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미음완보(微吟緩步), 전통정원을 거닐다’ 전시회다.

      • 전시 개요 : 국가유산청과 세종문화회관이 공동 주최한 이 전시는 정밀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국 전통정원을 디지털로 복원하고, 실감형 콘텐츠와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를 통해 재해석한 것이다.
      • 핵심 구현 요소
        • 6m 높이의 인터랙티브 폭포 (쌍계사 불일폭포 모티브)
        • 석가산, 방지원도 등 전통 공간요소의 3D 모델 구현
        • 후원과 별서정원의 사계절을 걸으며 체험하는 실측 기반 미디어아트

      이 사례는 단지 기술적 시도가 아니라, 정원을 기억하고 계승하는 새로운 방식이자, 현대 조경과 문화 콘텐츠가 만나는 지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미음완보(微吟緩步), 전통정원을 거닐다_국가문화유산청
      국가문화유산청과 세종문화회관이 공동 주최한 미음완보 전시회 포스터

       

       

      마무리 : 전통의 정신을 계승한 조경, 그것이 진짜 현대성이다

       

      한국 전통 정원의 아름다움은 단지 형식에 있지 않다. 자연을 대하는 겸손한 태도, 삶의 흐름과 연결된 공간 사용, 감각과 철학이 어우러진 배치. 이것이 전통 정원의 본질이다.

      현대 조경은 이제 단순히 새로운 것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오래된 것 속에서 미래의 공간을 발견해야 한다. 전통 조경양식의 현대적 해석은 결국 우리의 기억을 공간에 담아내는 작업이며, 기술과 철학이 만나는 아름다운 시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