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커뮤니티를 품은 도시공원,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사람 중심, 생활 속에서 살아 숨 쉬는 공원을 만드는 법
1. 도시공원, 이제는 ‘커뮤니티’를 담아야 한다
과거의 도시공원은 단순히 녹지 확보와 휴게 공간 제공에 중점을 두었다면, 오늘날의 도시공원은 주민 간 연결과 소통, 공동체 회복을 실현하는 커뮤니티 기반 공간으로 그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도시공원 및 녹지의 유형별 세부기준 지침』(2024년 10월 개정)에 따르면, 도시공원 조성계획의 수립기준에 "인근 지역주민의 이용도가 높은 공원의 경우 지역주민간의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2. 도시공원에서 커뮤니티를 실현하는 설계 방향
① 사용자 중심의 참여 기반 설계
- 초기 기획 단계부터 주민 설명회, 디자인 워크숍, 참여 설계 방식 도입
- 다양한 연령층의 의견 수렴을 위한 ‘디자인 샤렛’ 기법 활용
② 다기능적 공간 구성
- 운동, 휴식, 모임, 놀이, 생태 관찰 등 다양한 활동이 교차 가능하도록 설계
- 벤치, 야외무대, 커뮤니티 정원, 북카페 공간 등의 복합화
③ 개방성과 접근성 강화
- 경계 없는 공원 → 도로, 주거, 상업지와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설계
- 장애인, 고령자, 유모차 동선 등 무장애 설계 기준 반영
④ 장소성 반영과 경관 설계
- 지역의 역사, 문화, 자연 환경을 공원 구조와 식재 계획에 반영
- 경관 축(line of sight)과 지역 랜드마크를 시각적으로 연계

3. 커뮤니티형 도시공원의 설계 요소
요소 | 설계 포인트 | 효과 |
공유형 시설 | 테이블, 그늘막, 화덕, 공동화단 | 소모임 활동 및 커뮤니티 강화 |
가변형 공간 | 소형 공연장, 이동식 벤치, 야외교실 | 유연한 프로그램 운영 가능 |
복합동선 | 산책 + 놀이 + 운동을 연결하는 순환형 동선 | 다양한 연령층 유입 유도 |
커뮤니티 퍼니처 | 마을 게시판, 책장 벤치, 열린 키오스크 | 정보 공유 + 교류 공간 |
공유&생태 공간 | 주민이 관리하는 정원, 텃밭, 나비정원 | 공동 돌봄 문화 조성 |
4. 국내외 대표 사례
📍 국내 사례
(1) 서울 마포구 ‘경의선 책거리’
- 2016년, 마포구는 경의선 철길 지하화로 생긴 폐선 부지를 활용하여 '경의선 책거리'를 조성
- 책을 테마로 한 문화·휴게공간으로, 열차 모양의 부스와 야외광장, 다목적 홀, 책 조형물 등을 갖추고 있음
- 지역 출판·인쇄업체와 협력하여 다양한 책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역 문화의 거점으로 자리매김함
(2) 순천시 저전동 ‘시민의 정원’
-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저전동에 '정원마을'을 조성
-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여 골목길과 마당을 정원으로 탈바꿈시켰으며, 총 45개의 '포켓 정원'이 조성됨
- 빈집을 활용한 마을호텔과 셰어하우스, 테마포켓 정원 등을 통해 지역 공동체 활성화와 관광자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
🌎 해외 사례
(1) 미국 뉴욕 '브라이언트 파크 (Bryant Park)'
- 뉴욕 미드타운에 위치한 공원으로, 과거에는 범죄와 무질서로 악명 높았으나, 민간 비영리 조직인 브라이언트 파크 코퍼레이션(Bryant Park Corporation)이 1988년부터 관리·운영을 맡으면서 성공적으로 재활성됨
- 현재는 다양한 문화 행사와 프로그램이 열리는 시민들의 사랑받는 공간으로 변모
(2) 일본 야마구치현 '코잔 공원 (Kozan Park)'
- 일본 야마구치시에 위치한 역사적인 공원
- 국보로 지정된 루리코지 오층탑을 비롯한 다양한 문화재와 정원이 조성되어 있음
- 지역 주민과 관광객들에게 역사와 자연을 동시에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제공
5. 정책과 기준에 따른 설계 적용
📗 주요 법령 및 지침 참고
- 『도시공원·녹지의 유형별 세부기준 등에 관한 지침』 (국토교통부 훈령 제1786호, 2024.8.8. 개정)
도시공원 및 녹지의 유형별 세부기준을 정하여 공원녹지체계의 원활한 운영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된 행정규칙.
공원의 세분, 설치, 관리 등에 관한 기준을 포함하고 있으며, 국토교통부에서 발행한 공식 문서
- 『생활SOC 복합화사업 선정 가이드라인』 (국무조정실 및 관계부처 합동, 2021.1.27.)
생활밀착형 사회기반시설(SOC)의 복합화를 추진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한 문서로, 국무조정실과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수립
생활SOC 복합화사업의 선정 절차와 기준 등을 상세히 안내
6. 커뮤니티 기반 도시공원 설계 체크리스트
- ✅ 주민 설문 및 워크숍이 설계 전 단계에 반영되었는가?
- ✅ 어린이, 고령자, 장애인 등 모두가 사용하는 공간인가?
- ✅ 커뮤니티 활동이 일어날 수 있는 기능이 있는가?
- ✅ 지역의 정체성과 장소성이 반영되었는가?
- ✅ 유지관리 단계에서 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구조인가?
7. 마무리 – 조경 전문가의 제언
도시공원은 더 이상 '쉼터'만이 아니다.
그것은 지역 주민이 ‘함께 살아가는 방식’을 배우는 공간적 플랫폼이자, 소통과 회복을 촉진하는 생활 속 공공재다.
조경 전문가로서 나는 다음을 제안한다.
- 공공공간 설계 기준의 커뮤니티 기반 확대
정량적 면적 중심의 공원 기준을 넘어, 공간의 사회적 기능성을 담아야 한다. - 설계-조성-운영의 연속성 확보
공원이 ‘만들어지는 순간’에 머물지 않고, 커뮤니티가 자라나는 흐름을 설계에 담아야 한다. - 공원 디자인의 시나리오화
1인 산책자, 친구끼리 방문, 마을 행사 등 다양한 이용 시나리오를 상상하며 설계해야 한다.
도시공원에 커뮤니티가 깃들 때, 도시도 사람도 함께 살아난다.
다음 세대를 위한 진정한 도시공원이란,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녹색 교실이어야 한다.
반응형
'Landscape Design and Tren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문화를 담은 커뮤니티 조경 : 장소성 기반 설계 사례 분석 (0) | 2025.04.28 |
---|---|
사람을 모으는 광장의 조건 : 커뮤니티 광장의 조경 전략 (2) | 2025.04.27 |
정원 관광지 소개와 여행 팁 : 초록의 길을 걷는다는 것, 식물과 마주하는 여행 (4) | 2025.04.26 |
정원 가꾸기의 즐거움, 개인 정원 사례와 팁_작은 땅 큰 기쁨, 내 손으로 만드는 자연의 공간 (1) | 2025.04.25 |
도시 속 정원 : 회색 도시를 푸르게 물들이는 정원의 힘 (4)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