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andscape Design and Trends

사람을 모으는 광장의 조건 : 커뮤니티 광장의 조경 전략

by 산이사니 2025. 4. 27.
반응형

 

사람을 모으는 광장의 조건 : 커뮤니티 광장의 조경 전략

 

 

서론 : 광장은 도시의 심장이다

 

도시 공간 속에서 광장은 단순한 빈 공간이 아니다. 그것은 시민이 모이고, 머무르고, 서로 연결되는 커뮤니티의 무대다. 역사적으로도 광장은 집회, 축제, 상거래, 예술 활동의 중심지로 기능해 왔다. 오늘날의 도시에서는 물리적 공간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도시공동체의 회복력과 공공성, 그리고 사회적 연결망을 실현하는 조경적 전략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1. 커뮤니티 광장이란 무엇인가?

 

커뮤니티 광장이란 단순히 조경적 미관이나 편의 시설이 배치된 공간을 넘어, 사람과 사람이 연결되고 커뮤니티 활동이 중심이 되는 복합 공공 공간을 뜻한다.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2021~2025, 문체부)』에서는 커뮤니티 광장을 “시민 누구나 접근하고 활동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 다목적 공공공간”으로 정의한다.

광장의 핵심은 공공성, 장소성, 기능적 다양성, 접근성이다. 이를 조경 설계의 관점에서 실현하는 것이 바로 오늘날 커뮤니티 광장의 조성 전략이다.

 

커뮤니티 광장의 조경 전략

 

 

 

2. 커뮤니티 광장을 설계하는 네 가지 핵심 전략

 

(1) 공공성을 조성하는 열린 구조

  • 펜스나 담장 없이 도시 맥락에 자연스럽게 열려 있어야 한다.
  • 누구나 이용 가능해야 하며, 사적 소유나 독점이 배제되어야 한다.
  • 야외 의자, 물음벽, 음영공간 등 무목적 체류를 허용하는 요소 배치

 

(2) 다기능 프로그램 수용 공간

  • 걷기, 앉기, 놀기, 모이기, 관람하기 등 복합적 사용 가능성 고려
  • 광장의 중심에는 ‘비워진 공간’이 필요하며, 주변에는 프로그램 공간이 결합되어야 한다.
  • 이동식 모듈, 팝업 퍼니처, 행사 가변구조물 등 유연한 공간 사용 유도

 

(3) 장소성을 반영한 식재 및 재료 설계

  • 지역 식생, 문화적 상징을 담은 식재 계획
  • 장소 기억을 자극하는 조형물, 텍스트, 역사적 패턴의 포장재
  • 주변 경관의 시각축을 고려한 동선과 경관창 설계

 

(4)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경계 없는 공간

  • 장애인, 고령자, 유모차 사용자까지 고려한 무장애 동선
  • 광장 경계가 도로, 보행로, 상가, 공원과 자연스럽게 이어져야 함

 

 

 

3. 국내 대표 사례 분석

 

📍 광화문광장 (서울)

  • 2022년 재개장. 차도 일방통행 전환, 보행축 확대
  • 물길 공간, 의자 쉼터, 공연장, 역사전시물 설치
  • 시민참여 설계단 운영 → 디자인부터 운영까지 공공성 확보
  • 공식 출처: https://gwanghwamun.seoul.go.kr
 

광화문광장

 

gwanghwamun.seoul.go.kr

 

📍 세운광장 (서울 종로)

  • 세운상가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핵심 거점 공간
  • 광장과 상가, 보행교, 옥상 공원 등 수직적 공간 통합 설계
  • 시민참여 워크숍, 아트마켓, 야외 공연 등 커뮤니티 활동 활성화

 

📍 장대공원광장 (전남 순천)

  • 순천시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주민이 직접 설계 참여
  • 골목과 연결되는 열린 광장, 텃밭, 야외무대, 공동체 조경물 포함
  • 지역 자원과 정체성을 적극 반영한 커뮤니티 중심 광장

 

 

 

4. 해외 사례 요약

 

🇺🇸 Union Square (뉴욕)

  • 농산물 시장, 대규모 시민행사, 시위, 퍼포먼스 등 다목적 광장
  • 조경 설계와 커뮤니티 행정(BID, 비즈니스개선지구) 결합 운영

 

🇮🇹 Piazza Navona (로마)

  • 역사 유산과 현대 예술이 공존하는 대표적 커뮤니티 광장
  • 분수·조형물 중심의 회랑 구조와 인접 상업시설 간 결합 구조

 

🇦🇺 Federation Square (멜버른)

  • 도시 미디어센터, 야외무대, 퍼블릭 아트존이 융합된 복합 광장
  • 하루 방문객 약 4만 명. 도시 커뮤니티의 문화 허브로 기능

 

 

 

5. 조경 전문가의 제언

 

커뮤니티 광장은 더 이상 단순한 비워진 공간이 아니다. 그것은 사람들이 머무르고, 모이고, 서로를 만나는 도시 커뮤니케이션의 장치이자, 민주성과 공공성을 실현하는 도시조경의 현장이다.

 

조경 전문가로서 다음을 제안한다.

 

  • 광장 설계에 대한 사회적 시나리오 기획 강화 → 어떤 계층, 어떤 활동, 어떤 시간이 이 공간에 머무는지를 상상하고 디자인해야 한다.
  • 커뮤니티 중심 유지관리 체계 확립 → 광장을 유지하고 프로그램을 기획할 지역 거버넌스 구축 필요
  • 도시 맥락과 연결되는 조경설계 방식 적용 → 광장은 도시의 중심일 수도, 골목의 연결일 수도 있다. 위치와 주변 환경에 따른 설계 유연성이 중요하다.

 

광장을 통해 시민이 도시의 주인이 되는 경험, 그것이 커뮤니티 광장이 가진 진정한 가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