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andscape Design and Trends

[정원식물 50선] 잡초 걱정 없는 정원 만들기! 도만금 지피식물 추천 가이드

by 산이사니 2025. 8. 3.
반응형

 

황금빛 잎이 정원 바닥을 덮으며 공간에 활력을 불어넣는 도만금. 반음지에도 잘 자라는 도만금의 생육조건, 정원 활용 팁, 관리법까지 자세히 소개합니다.

 

그늘에도 반짝이는 금빛 잎, 도만금 – 빛 부족 정원에 생기를 더하는 지피식물

잡초 걱정 없는 정원 만들기! 도만금 지피식물 추천 가이드

 

기본정보

  • 국명 : 도만금
  • 학명 : Lysimachia nummularia ‘Aurea’
  • 과명 : 앵초과 (Primulaceae)
  • 원산지 : 유럽
  • 형태 : 다년생 초본
  • 크기 : 높이 5~15cm
  • 꽃색 : 노란색 (5~6월 개화)
  • 잎색 : 연한 황금빛(금엽)
  • 번식력 : 매우 강함 (지피력 우수)

 

식물 특징

도만금은 ‘황금기린초’, ‘황금마나리아’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는 엽색 감상의 대표 지피식물이다. 잎이 작고 둥글며, 줄기를 따라 낮게 뻗어가며 퍼지는 형태로 자란다. 특히 잎 색이 밝은 황금빛을 띠며 반그늘~양지까지 적응력이 뛰어나, 음지 식재 대안으로도 활용도가 높다.

5~6월경에는 노란색의 작은 꽃이 피어나며, 꽃보다 잎이 주인공인 식물로 사계절 정원에 안정된 컬러감을 더해준다.

 

꽃말과 상징

  • 꽃말 : 밝은 기운, 부드러운 활력, 조화
  • 상징성
    • 정원의 에너지 흐름
    • 음지 속 금빛 생명력
    • 확산과 연결의 상징

도만금은 다른 식물 사이를 부드럽게 연결하고, 밝은 잎색으로 그늘진 공간의 분위기를 전환하는 데 탁월하다. 정원에 흐름과 균형감을 만들어주는 식물로서의 상징적 가치도 높다.

 

생육 조건 및 관리법

구분 조건
햇빛 반그늘~양지 (직광은 피하는 게 좋음)
토양 보습력 있고 배수도 양호한 토양 선호
물주기 여름철 건조 주의, 약간 습하게 유지
비료 봄에 퇴비나 액비 소량
내한성/내서성 매우 강함 (월동 가능)
번식법 포기나누기, 줄기삽목, 자연 확산
도만금은 관리가 쉬우며 번식이 매우 빠른 식물이다. 단, 너무 건조하거나 통풍이 부족한 장소에서는 웃자라거나 줄기 부패가 발생할 수 있다.
반응형

 

정원 활용 포인트

  • 지피식물 : 땅을 덮는 밀도감이 좋아 잡초 방지 효과 탁월
  • 포인트 컬러 연출 : 어두운 색 잎 식물과의 조합 시 시각적 대비 효과 뛰어남
  • 그늘진 공간 보완 : 관목 하부, 정원 가장자리 등 빛이 적은 공간에 생기 부여
  • 화분 또는 벽면 식재 : 수직정원, 행잉바스켓 등에서도 줄기 처짐이 아름다움

도만금은 단독으로도 충분히 주목받는 컬러감과 질감을 지닌 지피식물로, 소규모 정원부터 대형 공공조경까지 폭넓게 쓰인다.

 

관리 팁 및 주의사항

  • 수분 유지가 핵심이나 과습은 피함
  • 광량이 너무 강하면 엽색이 바래거나 탈색되므로 반음지 이상 권장
  • 번식력이 매우 강해 의도한 범위 이상으로 퍼질 수 있어 적절한 관리 필요
  • 꽃이 지나면 가볍게 전정해 잎의 밀도를 회복시킬 수 있다

  

조경전문가 한마디

“도만금은 ‘정원의 연결자’입니다. 강한 확산력으로 식재 구간을 유기적으로 이어주며, 색감은 어느 초화보다도 시선을 끌죠. 특히 음지에서 밝은 느낌을 살릴 수 있는 몇 안 되는 식물로, 관목 아래, 벽면 경계 등 여러 장소에서 활용도가 높습니다.”

 

한눈에 보기 요약

항목 정보
이름 도만금 (Lysimachia nummularia ‘Aurea’)
꽃말 조화, 밝은 기운
개화기 5~6월
잎색 황금색 (사계절 지속)
생육환경 반그늘~양지, 토양 촉촉하게 유지
활용 지피, 포인트 컬러, 음지 보완
관리 난이도 매우 쉬움 (초보자 적극 추천)

 

마무리하며

도만금은 초화도, 관목도 아닌 경계를 지우는 부드럽고 연결성 강한 지피식물이다. 화려하지 않아도 정원에 확실한 존재감을 주며, 그늘 속 생명력과 공간 확장의 미학을 동시에 보여주는 식물이라 할 수 있다.

당신의 정원에도 밝은 잎 하나로 분위기를 바꾸는 마법을 경험해보는 건 어떨까?

 

 

 

관광객을 머물게 하는 비밀, 전통문화와 조경의 스토리텔링 전략

전통문화와 조경의 만남, 스토리로 재탄생한 관광공간들 프롤로그 : 왜 관광공간에 '스토리텔링'이 필요한가? 관광지를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오래 기억에 남는 것은 바로 '스토리'이다. 풍

sanisanee.co.kr

 

 

정원도시 서울, 회색 도시를 초록 도시로 바꾸는 전략

서울시가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정원도시 서울’ 정책. 도심 곳곳의 공터, 옥상, 벽면, 자투리 공간 등을 활용해 생활 속 정원을 조성하여 기후변화 대응, 도시 회복탄력성 강화

sanisanee.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