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여름 정원을 다채롭게 채우는 삼색조팝! 한 나무에 세 가지 색의 꽃이 피어나는 아름다움과, 잎과 줄기의 변화가 매력적인 조경 관목으로, 키우는 법과 활용 팁을 정리한다.
정원의 컬러 포인트, 삼색조팝 – 한 그루에서 피어나는 세 가지 빛깔의 조화
기본정보
- 국명 : 삼색조팝
- 학명 : Spiraea japonica ‘Shirobana’, ‘Goldflame’, ‘Magic Carpet’ 등
- 과명 : 장미과 (Rosaceae)
- 형태 : 낙엽관목
- 크기 : 40~100cm
- 꽃색 : 흰색, 분홍색, 진분홍색 (한 나무에 복합적으로 피기도 함)
- 개화기 : 6월~7월
- 잎색 : 연두~황색~적색(계절에 따라 변함)
식물 특징
삼색조팝은 일반 조팝나무와 달리, 잎과 꽃의 색 변화가 풍부한 품종이다. 특히 ‘Shirobana’ 품종은 한 그루에서 흰색, 분홍색, 진분홍 꽃이 함께 피어나 ‘삼색꽃’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일부 품종은 신엽이 붉게 나오고, 자라면서 황색~녹색으로 바뀌기도 하며, 가을에는 단풍까지 더해져 사계절 색채를 즐길 수 있다. 크기가 아담하고 둥근 수형을 유지하여 정원 가장자리 식재에 매우 적합하다.
꽃말과 상징
- 꽃말 : 변화, 다양한 매력, 섬세한 아름다움
- 상징성
- 하나의 식물에서 펼쳐지는 색의 변화
- 정원의 색채 포인트 역할
- 생기 있는 공간 구성
꽃과 잎이 계절에 따라 다채롭게 변하는 삼색조팝은, 색감 중심 정원 연출에 매우 효과적이며 특히 정원의 중심이 아닌 주변을 화사하게 만드는 보조 식재로 탁월하다.
생육 조건 및 관리법
구분 | 조건 |
햇빛 | 양지~반양지 선호 (양지일수록 색감 뚜렷) |
토양 | 배수가 잘 되고 유기질 많은 토양 |
물주기 | 일반 관목 수준, 너무 건조하거나 습하지 않게 유지 |
비료 | 봄철 완효성 비료 적당히 |
내한성 | 강함 (전국 월동 가능) |
전정 | 꽃이 지고 난 후 약하게, 겨울 전정도 가능 |
정원 활용 포인트
- 경계 식재 : 50~70cm 수준으로 자라기 때문에 길가, 담장 밑에 안정적으로 식재 가능
- 컬러 포인트 연출 : 주변이 녹음 위주일 때 밝은 잎과 꽃으로 시선 집중 효과
- 초여름 꽃 연출 : 봄꽃이 지고 여름이 오기 전, 짧은 과도기에 꽃을 피워 색상 연결에 효과적
- 정형·비정형 조화 : 구형 수형이므로, 자유형 정원에도 잘 어울림
삼색조팝은 특히 수국, 스파이라, 미스캔서스 등 중간 키 식물과 조합이 좋아 중단 레이어를 채워주는 데 효과적이다.
관리 팁 및 주의사항
- 직광에서 잎색이 더욱 선명해지므로 충분한 일조 확보
- 잎색이 바래거나 줄기가 웃자란다면 절반 정도 전정 후 회복 가능
- 잎이 축 처지거나 꽃이 일찍 시들 경우, 물 주기 간격 조정 필요
- 이식은 이른 봄이나 가을이 적기이며, 뿌리 활착 이후 이동은 피함
조경전문가 한마디
“삼색조팝은 보기 드문 ‘잎과 꽃 모두 감상할 수 있는 다채로운 관목’입니다. 한 식물에서 색의 변화와 입체감을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작은 정원이나 테라스 조경에도 좋고, 대규모 식재 시에는 훌륭한 컬러 경계선을 만들어냅니다.”
한눈에 보기 요약
항목 | 정보 |
이름 | 삼색조팝 (Spiraea japonica 'Shirobana', ‘Goldflame’ 등) |
꽃말 | 변화, 섬세한 아름다움 |
개화기 | 6월~7월 |
잎/꽃색 | 연두~노랑~적색(잎), 흰분홍~진분홍(꽃) |
생육환경 | 양지~반양지, 유기질 토양 |
활용 | 경계, 컬러 포인트, 중심부 보조 식재 |
관리 난이도 | 쉬움 (초보자 추천) |
마무리하며
삼색조팝은 마치 하나의 작은 정원이 한 그루의 나무에 담겨 있는 듯한 식물이다. 색감의 풍부함과 관리의 용이함, 그리고 공간에 활력을 불어넣는 힘까지 갖춘 관목으로, 정원을 새롭게 리프레시 하고 싶다면 꼭 고려해볼 가치가 있는 식재다.
당신의 정원에, 계절의 색이 살아 숨 쉬는 '한 그루'를 더해보는 건 어떨까?
숲길의 치유 효과 – 과학이 증명한 자연의 힘
숲길이 몸과 마음에 어떤 영향을 줄까? 스트레스 완화, 면역력 향상, 심리 안정까지—숲길의 치유 효과를 과학적 연구와 함께 정리한 블로그 콘텐츠. 산림치유, 자연요법, 걷기 명상의 이점까지
sanisanee.co.kr
자생식물 복원소재 가이드북 요약 : 수종 선택과 번식법까지
산림청·국립수목원·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이 공동 발간한 『자생식물 복원소재 가이드북』(2024)은 산림복원에 활용할 수 있는 자생식물 114종의 생육환경, 번식법, 활용 정보를 정리한 실무형
sanisanee.co.kr
'Landscape Design and Tren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삿갓문학길 완전정복! 강원 영월의 명품숲길, 문학과 자연이 흐르는 힐링 트레킹 코스 (5) | 2025.08.13 |
---|---|
하늘길 둘레길 완전정복! 영월 동강 품은 명품숲길의 진짜 매력 (9) | 2025.08.12 |
강원도 명품숲길, 삼척 응봉산에서 만나는 해송과 파도소리 (5) | 2025.08.11 |
[정원식물 50선] 이국적인 대나무 실루엣! 뱀부 벨뱅크로 연출하는 정원의 선 (2) | 2025.08.11 |
[정원식물 50선] 가드닝 초보도 성공하는 꽃! 애기금어초 활용법 총정리 (7) | 2025.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