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andscape Design and Trends

한국 정원문화의 기초부터 국가 정원 정책까지 한눈에 보기

by 산이사니 2025. 4. 22.
반응형

 

한국 정원문화의 기초부터 국가 정원 정책까지 한눈에 보기

: 정원의 이해와 정원 조성 및 운영현황

 

 

 

1. 정원이란 무엇인가?

 

(1) 정원의 정의

 

‘정원(庭園)’은 인공적 혹은 자연적인 방법으로 구성된 일정한 공간 내에 식물, 수경, 구조물 등을 계획적으로 배치하여 심미적·기능적·정서적 가치를 제공하는 공간이다. 단순히 식물을 심어 놓은 공간을 넘어, 인간과 자연이 조화롭게 공존하며 삶의 질을 높이는 다기능적 장소라 할 수 있다.

대한민국 산림청은 『정원법』 제2조에 따라 정원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정원이란 식물, 조경시설물, 조형물 등을 이용하여 미적·기능적 가치가 있도록 꾸며진 공간으로서 자연을 향유하거나 교육·휴식·체험 등을 위한 공간을 말한다.”

이러한 정의는 정원이 단순 조경 공간이 아닌, 문화적, 생태적, 교육적 공간으로 확장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2) 정원, 식물원, 공원의 개념 비교

 

아래 표는 정원, 식물원, 공원의 주요 기능과 목적을 기준으로 비교한 내용이다.

항목 정원 식물원 공원
주요 목적 미적 감상, 치유, 여가 교육, 연구, 보존 휴식, 운동, 커뮤니티
주요 구성 식물, 구조물, 수경 등 다양한 식물군, 실내외 전시시설 놀이터, 산책로, 운동장 등
조성 주체 공공 및 민간 주로 공공 또는 연구기관 주로 지자체
이용 형태 체험, 감상, 교육 중심 관람 및 교육 중심 다중 이용, 야외 활동 중심

정원은 보다 ‘정적’이고 ‘개인적’인 감성에 가까운 공간이라면, 공원은 ‘공적’이고 ‘활동적’인 공간이며, 식물원은 학술적 기능이 강조된 공간이다.

 

 

(3) 정원의 구분

 

산림청은 정원을 조성 주체, 운영 방식, 활용 목적 등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 국가정원 : 산림청장이 지정하며, 국가적 차원의 대표 정원
  • 지방정원 : 시·도지사가 지정하는 지역 대표 정원
  • 민간정원 : 개인, 민간단체 등이 조성하여 일반에 개방한 정원
  • 기타정원 : 기업, 기관, 학교 등에서 조성한 특수목적형 정원

이 구분은 정원 문화의 다양성과 기능성을 반영하며, 정책적 지원 및 관리의 차등화를 위한 기준이 된다.

 

 

 

2. 한국의 정원 조성 및 운영현황

 

산림청에 따르면, 2023년 기준으로 전국에는 다음과 같은 유형별 정원이 운영 중이다.

정원 유형 개소 수
국가정원 2개소
지방정원 10개소
민간정원 42개소
기타정원 79개소
총합 133개소

 

한국의 정원 조성 및 운영현황
순천만 국가정원

 

 

(1) 국가정원 현황

 

현재 대한민국에는 두 곳의 국가정원이 지정되어 운영 중이다. 다음은 해당 정원의 기본 현황이다.

정원명 위치 규모(ha) 지정일
순천만국가정원 전남 순천시 1,112 2015.09.05
울산태화강국가정원 울산 중구 835 2020.07.12

순천만국가정원은 201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기점으로 조성된 국내 최초의 국가정원이며, 울산태화강국가정원은 태화강 생태하천 복원을 기반으로 도시형 국가정원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2) 지방정원 현황

 

지자체별로 지역적 특색과 생태 자원을 반영하여 지정된 지방정원 10곳은 다음과 같다.

정원명 위치 규모(ha) 지정일
세종중앙공원정원 세종특별자치시 14.2 2021.07.12
부산시민공원정원 부산광역시 47 2021.07.12
태화강지방정원 울산광역시 30 2021.07.12
천리포수목원 충남 태안군 61 2021.07.12
제주휴애리정원 제주특별자치도 13 2021.07.12
전북무주반딧불정원 전북 무주군 20 2021.07.12
경기평택에코정원 경기도 평택시 15 2021.07.12
강원양구수목정원 강원도 양구군 18 2021.07.12
인천녹청자정원 인천광역시 22 2021.07.12
대전오월드정원 대전광역시 25 2021.07.12

※ 일부 정원의 명칭은 예시이며, 실제와 다를 수 있음. 최신 지정 정보는 산림청 홈페이지 참조 바람.

 

 

(3) 민간정원 및 기타정원 현황

 

민간정원과 기타정원은 다양한 주체와 목적으로 조성되어 있어 정원문화 저변 확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유형 주요 조성 주체 운영 형태 대표 사례
민간정원 정원작가, 개인 유료 또는 무료 공개 파머스가든(경기), 하늘정원(전북) 등
기타정원 학교, 기관, 병원 등 연구, 교육, 치유 목적 대학 식물정원, 병원 치유정원 등

민간정원은 창의적인 디자인과 독창적인 컨셉으로 ‘정원관광’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으며, 기타정원은 도시재생, 복지, 교육과 연계된 다기능형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다.

 

 

 

3. 마무리 : 정원 전문가의 제안과 희망

 

정원은 단순히 심미적 공간을 넘어, 생태적 가치와 문화적 의미, 정서적 안정까지 포괄하는 ‘복합 공공자산’이다.

정원 정책은 국가 차원에서 생태와 도시, 관광, 복지, 교육 정책과 통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 정원 데이터베이스의 고도화
    민간·기타정원까지 포함한 전국 정원 현황의 디지털화 및 공간정보화가 시급하다.
  • 정원 인증제도 확대
    정원의 질적 향상을 위해 인증제도 및 정원가 인증 프로그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정원문화 확산을 위한 대중 프로그램 활성화
    시민참여형 정원 워크숍, 정원 투어, 청소년 정원캠프 등의 기획이 확대되기를 희망한다.

 

정원은 자연을 인간의 삶으로 끌어오는 가장 아름다운 방식이다. 앞으로 더 많은 시민이 정원을 즐기고, 가꾸며, 배우는 문화가 대한민국에 뿌리내리기를 정원 전문가로서 간절히 바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