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잎도라지는 울릉도 자생의 고산식물로, 종 모양의 연보라 꽃과 솔잎 같은 잎이 조화를 이루는 정원 인기 식물입니다. 생육조건, 정원 활용법, 상징까지 완전 정리해드립니다.
꽃보다 단아한 초본, 솔잎도라지! 바위정원·자연형 정원 추천 식물
정원의 숨은 보석, 솔잎도라지를 아시나요?
한 여름의 정원 한켠, 잎은 솔잎처럼 가늘고 뾰족하며 꽃은 은은한 연보라색의 종 모양. 수줍게 고개를 숙인 듯 피어나는 이 식물의 이름은 바로 솔잎도라지다. 이름처럼 도라지의 친척 같지만, 실제로는 초롱꽃과(Campanulaceae)에 속하며, 그 중에서도 ‘캄파눌라(Campanula)’라는 속명 아래 자리한다.
솔잎도라지는 그 독특한 형태와 꽃의 우아함으로 인해 고산지대형 정원식물, 자연주의 정원, 야생화 가든에서 매우 사랑받는다. 특히 우리나라 울릉도 자생종에서 유래한 품종인 ‘알파인’(Alpine) 계열은 높은 내한성과 아름다운 개화 형태로 인해 해외에서도 주목받는 정원식물이다.
기본 정보
항목 | 내용 |
학명 | Campanula takesimana ‘Alpine’ |
과명 | 초롱꽃과 (Campanulaceae) |
원산지 | 한국 (울릉도) |
형태 | 다년생 초본 |
잎 | 솔잎 모양의 선형 잎, 마주나기 |
꽃 | 연보라~흰색 계열, 종 모양, 아래를 향해 핌 |
개화기 | 6~8월 |
생육형 | 포복형 또는 군락형 번식, 뿌리줄기 확장형 |
꽃말과 상징
솔잎도라지는 흔히 ‘겸손’, ‘내면의 소리’, ‘자연과의 조화’라는 상징을 지닌다.
- 고개 숙인 종형 꽃 → 겸손과 배려의 상징
- 자생종에서 비롯된 단아함 → 고향, 뿌리, 한국적인 미
- 야생성과 생명력 → 강인한 생존력과 꾸준함의 의미
이처럼 솔잎도라지는 외유내강을 상징하는 정원식물로서, 정원에 심었을 때 단순한 장식성을 넘어 공간의 의미와 정서를 더해준다.
생육 조건 및 관리법
구분 | 조건 |
햇빛 | 반음지~양지 (직광보다는 산광 조건 선호) |
토양 | 배수가 좋은 사양토, 다소 습기 있는 토양도 가능 |
물주기 | 여름철에는 주 2회 이상, 개화기에는 수분 유지 중요 |
전정 | 개화 후 꽃대 제거, 번식 유도를 위한 정리 필요 |
비료 | 개화 전 유기질 비료 또는 퇴비 소량 |
내한성 | -30℃까지 견디는 강한 내한성 |
병해충 | 특별한 병해충은 없으나 장마철 잎곰팡이 주의 |
※ 전문가 팁 : 꽃이 진 후 꽃대를 바로 제거하면 에너지가 뿌리로 돌아가 다음 해의 개화에 도움을 준다.
정원 활용 포인트
- 내추럴 가든의 하층 식재
솔잎도라지는 자연스러운 군락을 이루며 퍼져 나가므로 산지형 정원이나 그라벨 가든의 하층 식재로 제격이다. - 바위정원(락가든)과 고산화단
암석 주변이나 건조하고 척박한 곳에도 잘 자라며, 바위 틈에서 피어나는 모습이 매우 아름답다. - 테두리용 지피식물
잎이 땅을 덮듯 자라고 꽃은 아래를 향해 핌으로, 정원 경계나 길 가장자리 테두리용으로 좋다. - 그림자 정원(Shade Garden) 보조 식재
은은한 꽃색과 음지 적응성 덕분에 반음지 공간에 색을 입힐 수 있는 식물로도 인기다.
관리 팁 및 유의사항
- 번식력 관리 : 뿌리줄기 번식이 강한 편이라 과밀 식재 시 자칫 번지는 느낌이 날 수 있다. 1~2년에 한 번 분리 이식 또는 정리 필요.
- 과습 주의 : 습한 곳은 좋아하되, 침수되지 않는 배수성 높은 토양이 필수다.
- 겨울 대비 : 내한성은 강하지만 신식재일 경우 멀칭을 통한 초기 보호가 유리하다.
조경전문가 한마디
“솔잎도라지는 조용하지만 존재감이 있는 식물이다. 특히 초여름~여름 사이 정원의 감성적 포인트를 부여하고자 할 때 강력히 추천한다. 과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공간을 좋아하는 디자이너들에게 ‘소장 가치 있는 야생화’로 꼽힌다.”
요약 : 한눈에 보는 솔잎도라지
항목 | 정보 |
학명 | Campanula takesimana ‘Alpine’ |
개화기 | 6~8월 |
색상 | 연보라~흰색 |
수형 | 땅을 덮으며 낮게 성장, 군락형 |
상징 | 겸손, 자연과의 조화, 단아함 |
활용 | 바위정원, 자연형 화단, 하층식재, 음지식재 |
생육 | 내한성 강함, 배수 양호한 흙 필요 |
솔잎도라지는 계절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잘 드러내면서도 과하지 않기에, 감성적 정원 조성을 원한다면 꼭 포함시켜야 할 식물이다. 울릉도의 숨은 보석을, 당신의 정원에서도 만나보시라.
제13회 경기정원문화박람회 개최! 평택에서 만나는 정원의 언어
2025년 제13회 경기정원문화박람회의 주제, 작가정원과 생활정원 출품작, 조성 규모, 전시 방식 등 정원문화 관점에서 상세히 소개합니다. 정원을 일상에서 만나다 : 2025 제13회 경기정원문화박람
sanisanee.co.kr
산림청이 추천한 ‘2025년 7월 수목원·정원 10선’ 총정리
여름방학, 휴가철 가볼만한 수목원과 정원은 어디? 산림청이 공식 추천한 7월 ‘꽃이 만개한 여름 힐링 명소 10선’을 소개합니다. 수국, 수련, 무궁화, 대나무, 메타세쿼이아까지 한여름 자연 속
sanisanee.co.kr
'Landscape Design and Tren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원식물 50선] 촉감까지 치유되는 정원식물, 램스이어(Lamb’s Ear)의 모든 것 (1) | 2025.08.15 |
---|---|
몸과 마음이 쉬어가는 숲길, 의림지 한방치유숲길 완벽 가이드! (4) | 2025.08.14 |
[정원식물 50선] 여름 정원의 정열! 애기루드베키아 : 햇살 닮은 노란꽃의 매력 (4) | 2025.08.13 |
김삿갓문학길 완전정복! 강원 영월의 명품숲길, 문학과 자연이 흐르는 힐링 트레킹 코스 (5) | 2025.08.13 |
하늘길 둘레길 완전정복! 영월 동강 품은 명품숲길의 진짜 매력 (11) | 2025.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