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 계획의 첫걸음은 공간을 이해하는 일입니다. 초보자도 따라 할 수 있는 정원 설계 프로세스!
부지 분석, 콘셉트 정하기, 식재계획, 예산 설정까지 하나씩 배우며 나만의 정원을 완성해보세요.
나만의 정원 만들기 첫걸음 : 초보 가드너를 위한 실전 정원 설계법
– 공간 분석부터 콘셉트 설정, 식재 설계까지 단계별 완벽 가이드 –
![[정원가꾸기_기초편] 초보 가드너를 위한 정원 계획 세우는 법](https://blog.kakaocdn.net/dna/blPvoK/dJMb9NohnFk/AAAAAAAAAAAAAAAAAAAAABFZugvMVq2uo2ZhAf1yGf57RT2jZjwIqGFkOFG957QX/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1922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VQzUvMDZnDKAI2qAEpcYV5Ac4bc%3D)
“정원은 설계에서 이미 반 이상 완성됩니다”
정원을 직접 만들고 싶다는 생각이 들면, 우리는 보통 먼저 ‘무엇을 심을까’를 떠올립니다.
하지만 정원의 완성도는 ‘심기’보다 ‘계획’에 달려 있습니다.
잘 계획된 정원은 계절이 바뀌어도 흐트러지지 않고, 시간이 흘러도 관리가 편합니다.
반대로, 설계 없이 즉흥적으로 꾸민 정원은
금세 식물이 엉키거나 관리가 어려워지죠.
따라서 정원을 만들기 전 반드시 “계획의 5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다음 다섯 단계를 자세히 알아봅니다.
정원 계획의 5단계
1️⃣ 공간 분석하기
2️⃣ 콘셉트 정하기
3️⃣ 기능 구역 나누기
4️⃣ 식재 계획 세우기
5️⃣ 예산·관리 계획 세우기
1단계 – 공간 분석하기
정원을 설계하기 전, 먼저 “이 공간이 어떤 성격을 가지고 있는가”를 파악해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공간 분석(Site Analysis)입니다.
체크리스트로 시작하기
다음 표는 초보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정원 부지 분석표입니다.
| 항목 | 확인 내용 | 메모 |
| 위치 | 남향 / 북향 / 동향 / 서향 | 햇빛 방향에 따라 식물 선택 결정 |
| 지형 | 평지 / 경사지 / 단차 유무 | 배수 및 포장 설계에 영향 |
| 토양 상태 | 모래질 / 점토질 / 유기질 | 배수·비료 계획의 기준 |
| 일조량 | 하루 평균 3시간 / 6시간 이상 등 | 그늘·양지 구분 |
| 바람 방향 | 강풍 여부 / 방풍식재 필요성 | 상록수나 담쟁이로 보호 가능 |
| 배수 상태 | 물이 고이는 곳 유무 | 우수관, 배수로 필요성 검토 |
| 기존 식생 | 기존 나무, 잡초, 자생식물 | 유지할 것과 제거할 것 구분 |
햇빛의 방향과 그림자, 바람의 흐름만 표시해도 식재 아이디어가 훨씬 명확해집니다.
초보자가 자주 놓치는 포인트
- 배수는 디자인보다 우선이다.
물 빠짐이 나쁜 곳은 어떤 식물도 오래 살지 못합니다. - 햇빛은 하루 중 변화한다.
오전은 양지, 오후는 반그늘이 되는 곳을 직접 관찰해보세요. - 기존 식물은 ‘적’이 아니라 ‘자원’이다.
자생하는 식물은 그 토양에 맞는 종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잘 활용하면 관리가 쉬워집니다.
![[정원가꾸기_기초편] 초보 가드너를 위한 정원 계획 세우는 법](https://blog.kakaocdn.net/dna/ep43VJ/dJMb81msRoC/AAAAAAAAAAAAAAAAAAAAALCbDmXzZQRJx8gQvr7nJ-zpkag044Va2ZH3kTvPAa42/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1922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d7ViUuytpDLZ8c0QRfdg5%2FiSLEE%3D)
2단계 – 콘셉트 정하기
공간 분석이 끝났다면 이제 “이 정원을 어떤 분위기로 만들고 싶은가”를 정해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콘셉트(Concept)입니다.
콘셉트는 ‘느낌 + 기능’의 결합이다
예쁜 정원은 단순히 보기 좋은 정원이 아니라, 주인의 생활을 담는 정원입니다.
| 주요 콘셉트 유형 | 특징 | 어울리는 재료 |
| 자연주의 정원 | 숲처럼 자연스러운 분위기 | 돌, 나무, 멀칭재 |
| 모던가든 | 깔끔하고 간결한 선 | 콘크리트, 철제, 유리 |
| 코티지 가든 | 알록달록한 꽃, 자유로운 식재 | 벽돌, 흰 울타리 |
| 명상정원 | 간결, 여백, 조용함 중심 | 자갈, 물, 대나무 |
| 패밀리가든 | 가족 휴식용, 아이 공간 포함 | 잔디, 파고라, 벤치 |
| 펫가든 | 반려동물 산책공간 포함 | 투수포장, 완충식재 |
예를 들어 가족과 주말 바비큐를 즐기고 싶다면 넓은 테라스와 잔디가 필요하고,
혼자 차를 마시며 휴식하고 싶다면 작은 벤치와 향기로운 식물들이 어울립니다.
콘셉트 무드보드 만들기
이미지를 모아보세요.
Pinterest, Instagram, 잡지 사진 등에서 마음에 드는 정원 사진을 저장한 뒤,
‘공통된 색’, ‘식물 형태’, ‘분위기’를 찾아내면 나만의 무드보드가 완성됩니다.
이 작업은 전문가도 반드시 하는 과정입니다.
시각적 언어로 정원의 방향을 잡을 수 있기 때문이죠.
![[정원가꾸기_기초편] 초보 가드너를 위한 정원 계획 세우는 법](https://blog.kakaocdn.net/dna/AK9yf/dJMb9LRwUe7/AAAAAAAAAAAAAAAAAAAAAGDZfbZN0vY54tq3qoKK92cjs6xAlU5zgQb-Ylcr7K7r/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1922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FbdBKlQ4Ql8srSYszpv3MVqFuCE%3D)
3단계 – 기능 구역 나누기 (Zoning Plan)
이제 정원을 실제 공간으로 나눠봅시다.
정원의 기능에 따라 구역을 분리하는 것을 존닝(Zoning)이라고 합니다.
구역 나누기의 기본 원칙
- 중심과 주변을 구분한다.
→ 주된 활동이 이루어지는 중심공간(예: 테라스, 잔디)과
이를 감싸는 배경공간(예: 식재지, 울타리)을 구분합니다. - 동선을 따라 시선이 흐르게 한다.
→ 길을 따라 식재 포인트를 배치하면 자연스럽게 ‘걷고 싶은 정원’이 됩니다. - 가깝고 자주 사용하는 공간일수록 단순하게.
→ 주동선 주변은 관리하기 쉬운 식물로,
가장 먼 곳은 자연형 또는 야생화로 구성하면 유지가 편합니다.
예시 : 10평 규모 마당의 존닝 설계
| 구역 | 주요 기능 | 비율(%) | 구성 요소 |
| 테라스 존 | 휴식, 식사 | 30 | 데크, 파라솔, 의자 |
| 플랜팅 존 | 꽃, 관목 식재 | 40 | 라벤더, 수국, 억새 등 |
| 유틸리티 존 | 창고, 수도, 퇴비통 | 10 | 기능성 중심 배치 |
| 보행 존 | 길과 연결 | 20 | 디딤석, 자갈길, 포장 |
곡선형 길을 넣으면 공간이 시각적으로 넓어 보입니다.
![[정원가꾸기_기초편] 초보 가드너를 위한 정원 계획 세우는 법](https://blog.kakaocdn.net/dna/otnV8/dJMb9O8yK6O/AAAAAAAAAAAAAAAAAAAAAElRFmVGDZdI-3CFfoNQpjXd3TXj1cUJFQHIQzZmw0Ux/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1922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zNfDY2rs782Hjlw1Awfl4dTDKRU%3D)
4단계 – 식재 계획 세우기
정원 설계의 꽃은 식재입니다.
하지만 초보자는 흔히 “좋아하는 식물을 무조건 심는” 실수를 합니다.
식재는 ‘조건 + 조화 + 관리’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식재 구성 공식 (3-Layer Rule)
| 층위 | 예시 식물 | 역할 |
| 상층(교목) | 단풍나무, 소나무, 자귀나무 | 프레임, 그늘, 중심 |
| 중층(관목/초화) | 수국, 남천, 라일락, 라벤더 | 색감, 질감, 계절감 |
| 하층(지피/잔디) | 세덤, 타임, 잔디, 이끼 | 잡초 방지, 바닥 피복 |
색채 조합 팁
- 기본색 3 : 포인트색 1 비율을 지키면 안정적입니다.
- 따뜻한색(빨강·주황·노랑)은 눈을 끌고,
차가운색(파랑·보라·초록)은 공간을 넓어보이게 합니다. - 잎의 질감도 색만큼 중요합니다.
거친 질감(억새, 수수꽃다리) + 부드러운 질감(라벤더, 타임)의 대비를 활용하세요.
식재 계획 예시
‘사계절 컬러 정원’ 구성 예시 (10평 기준)
| 계절 | 대표 식물 | 색상 포인트 |
| 봄 | 튤립, 수선화, 라일락 | 밝은 노랑·핑크 |
| 여름 | 루드베키아, 버베나, 수국 | 연보라·연두 |
| 가을 | 남천, 억새, 단풍나무 | 붉은색·은빛 |
| 겨울 | 에메랄드그린, 눈향나무 | 짙은 초록·하양 대비 |
![[정원가꾸기_기초편] 초보 가드너를 위한 정원 계획 세우는 법](https://blog.kakaocdn.net/dna/cGDjKa/dJMb9Pl6aqj/AAAAAAAAAAAAAAAAAAAAAHRdctxgY3wbw32tzTWRoUYXip9VbvnsnDchgD_GebV9/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1922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vBQ8hR9kXmrOptV5F4FXUOv8xbI%3D)
5단계 – 예산·관리 계획 세우기
정원은 ‘돈이 아니라 관리’로 완성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예산과 관리 계획이 중요합니다.
예산 배분 가이드라인
| 항목 | 비중(%) | 설명 |
| 구조물·포장 | 35 | 데크, 바닥, 담장 등 |
| 식재(수목·초화) | 25 | 계절별 식물 구입 |
| 조명·시설물 | 15 | 벤치, 조명, 수도 등 |
| 토양개량·배수 | 15 | 배수층, 비료, 퇴비 등 |
| 유지관리·예비비 | 10 | 교체·보수비 포함 |
관리 계획 세우기
- 정기 관리 루틴 만들기
월별로 ‘전정, 관수, 시비, 병충해 점검’ 일정을 캘린더화합니다. - 자동화 장비 적극 활용
자동관수, 스마트 플러그 조명 등을 이용하면 유지비 절감. - 식물 기록 노트 만들기
개화 시기, 병충해, 물주기 주기를 기록하면 다음 해 관리가 쉬워집니다.
“정원은 계획의 정직한 결과입니다”
정원은 단순한 취미 공간이 아닙니다.
계획이 꼼꼼할수록, 당신의 일상은 여유로워집니다.
오늘 심은 한 그루의 나무는 내일의 그늘이 되고,
하루 10분의 물주기가 마음의 휴식이 됩니다.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계획을 세우고 조금씩 실천하는 그 과정 자체가
바로 ‘정원 가꾸기의 즐거움’이니까요.
다음 편에서는 ‘정원에 어울리는 토양 고르는 법과 배수 설계 기초’를 통해
정원의 건강을 결정짓는 “흙의 세계”로 함께 들어가보겠습니다.
[정원식물 50선] 잡초 걱정 없는 정원 만들기! 도만금 지피식물 추천 가이드
황금빛 잎이 정원 바닥을 덮으며 공간에 활력을 불어넣는 도만금. 반음지에도 잘 자라는 도만금의 생육조건, 정원 활용 팁, 관리법까지 자세히 소개합니다. 그늘에도 반짝이는 금빛 잎, 도만금
sanisanee.co.kr
[정원 DIY 목공 가이드] 초보자를 위한 목재 선택과 구매 방법 총정리
정원 DIY 목공 입문자를 위한 목재 선택 가이드. 소나무, 방부목, 합판, 집성목 등 다양한 나무 재료의 장단점과 정원 가구·소품에 적합한 활용법을 소개합니다. 목공 입문자를 위한 정원 DIY 나무
sanisanee.co.kr
'Landscape Design and Tren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명품숲길 50선 가을단풍 산행 ①] 가평 연인산 명품 계곡길 트레킹 (0) | 2025.10.27 |
|---|---|
| [정원가꾸기_기초편] 식물이 잘 자라는 정원의 비밀 : 토양 개량과 배수 설계의 정석 (0) | 2025.10.27 |
| 수원·용인 단풍 명소 BEST 5 : 광교호수공원·수원화성·용인민속촌·에버랜드·용인자연휴양림 (0) | 2025.10.24 |
| [정원가꾸기_기초편] 초보 가드너를 위한 정원 디자인 기초 가이드 : 구조·식재·관리 이해하기 (0) | 2025.10.23 |
| 가을 피크닉 하기 좋은 공원 단풍 명소 BEST 7 : 도심 속 단풍 감성 여행 (0) | 2025.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