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페셔널 조경 디자이너와 함께 조경 디자인의 기술과 트렌드 정보를 나누는 블로그입니다.

  • 2025. 3. 17.

    by. 산이사니

    목차

       

       

      도시 재생에서 조경의 역할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많은 도시가 환경 악화, 공간 부족, 녹지 감소 등의 문제를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 재생(Urban Regeneration)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조경 디자인은 도시 재생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조경 디자인은 단순히 녹지를 조성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도시 공간을 보다 지속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환경으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도시 내 낙후된 지역이나 산업 지역을 녹지로 탈바꿈시키는 과정에서 조경 설계는 생태계 회복과 도시의 기능 개선을 동시에 이뤄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글에서는 도시 재생과 조경의 관계, 조경이 도시 환경에 미치는 영향, 최신 도시 재생 조경 사례 및 미래 방향성을 살펴본다.

       

      도시 재생과 조경 : 환경을 바꾸는 조경 디자인

       

       


       

       

      도시 재생을 위한 조경 설계 원칙과 방법

       

      도시 재생에서 조경의 핵심 원칙

      도시 재생을 위한 조경 설계에서는 몇 가지 중요한 원칙이 적용된다.

      •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 : 도시 내 녹지를 조성할 때 환경친화적인 방식으로 진행해야 하며, 물 절약형 식물이나 빗물 재활용 시스템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 생물 다양성(Biodiversity) 보존 : 단순한 녹지 공간이 아닌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도시 생태계를 복원해야 한다.
      • 시민 참여(Civic Engagement) : 조경 공간을 설계할 때 시민의 의견을 반영하고, 커뮤니티 정원을 조성하는 등 시민들이 직접 조경을 가꾸고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 다기능적 공간 조성 : 조경 공간이 단순한 녹지가 아닌, 문화 활동, 체육 시설, 교육 공간 등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계획해야 한다.
      • 기후 변화 대응: 도시 열섬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옥상 녹화, 벽면 녹화 등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도시 재생 조경 기법

      도시 재생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조경 기법은 다양하며, 각각의 기법은 해당 도시의 특성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 도시 숲 및 공원 조성 : 기존의 회색 도시 공간을 녹지 공간으로 전환하여 미세먼지 저감 및 기후 조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옥상 녹화 및 벽면 녹화 : 기존 건물의 옥상과 벽면을 녹화하여 열섬 현상을 완화하고, 도시 미관을 개선한다. 
      • 빗물 정원 및 저영향 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기법 : 빗물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도시의 홍수 피해를 줄이고, 지속 가능한 물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
      • 폐허 공간 재활용 : 버려진 공장이나 창고 등의 유휴 공간을 공원, 정원, 커뮤니티 공간으로 재활용하여 도시의 활용도를 높인다.
      • 도시 농업 및 공동체 정원 조성 : 도심 내에서 주민들이 직접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공동체 활성화를 유도한다.

       


       

       

      도시 재생을 위한 성공적인 조경 사례

       

      서울, 청계천 복원 프로젝트

      청계천은 과거 복개되어 도로로 사용되던 공간을 다시 하천으로 복원한 대표적인 도시 재생 사례다. 복원된 청계천은 도시 내 친환경 공간을 창출하며, 생태 복원과 경제 활성화의 효과를 동시에 거두었다.

       

      뉴욕, 하이라인 공원

      하이라인 공원은 폐쇄된 고가 철도를 녹지공원으로 탈바꿈한 사례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도심 한가운데 녹지를 조성하며, 도시 공간을 더욱 쾌적하게 만들었다. 또한, 이곳은 관광 명소로 자리 잡으며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역할도 했다.

       

      독일, 템펠호프 공원

      베를린에 위치한 템펠호프 공원은 과거 공항이었던 부지를 대규모 공원으로 전환한 사례다. 이곳은 다양한 레크리에이션 활동이 가능하도록 조성되어 시민들에게 새로운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일본, 도쿄 미드타운 프로젝트

      도쿄 미드타운은 도심 내 자연 친화적인 조경을 도입하여 빌딩 숲속에서도 녹색 공간을 확보한 사례다. 조경 디자인을 통해 도심 속 힐링 공간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업무 효율성과 삶의 질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파리, 벽면 녹화 프로젝트

      프랑스 파리는 벽면 녹화를 통해 미관을 개선하고, 공기 정화 기능을 향상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파트릭 블랑(Patrick Blanc)이라는 조경 디자이너가 설계한 벽면 정원은 전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지속 가능한 도시 조성을 위한 조경의 역할

       

      도시 재생은 단순히 낡은 건물을 철거하고 새로운 건물을 짓는 것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조경 디자인은 도시 공간을 더욱 살기 좋은 환경으로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후 변화 대응, 생태계 복원, 미관 개선 등의 다양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조경은 단순한 미적 요소를 넘어서 경제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녹지가 많은 지역은 부동산 가치가 상승하고, 관광객 유입이 증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조경 공간은 주민들의 건강 증진 및 스트레스 해소에도 기여하며, 사회적 관계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미래 도시에서는 더욱 다양한 조경 기술과 디자인이 도입될 것이며, 스마트 기술과 융합된 친환경 조경이 도시 재생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을 것이다. 앞으로의 도시 조경은 단순한 녹지 공간 조성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필수적인 인프라로 발전해 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