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 Daily Routine

귀농 정착 후 1년차 월별 자금 흐름표 만들기

by 산이사니 2025. 11. 19.
반응형

 

 

귀농 첫 해에는 수익보다 지출이 많습니다. 생활비, 영농비, 비상비를 분리해 월별 자금 흐름표를 작성하는 법과 실제 예시, 유동성 위기를 피하는 전략을 정리했습니다.

 

수확은 한철, 지출은 매달입니다. 귀농 1년차 자금 흐름표를 꼭 작성해야 하는 이유 

귀농 정착 후 1년차 월별 자금 흐름표 만들기

“수확은 가을에 오지만, 지출은 매달 찾아온다.”

귀농 1년차는 수익보다 지출이 많은 시기다.
땅을 사고, 집을 고치고, 기계를 들이고, 씨앗을 뿌리고…
돈이 들어가는 시점은 거의 ‘즉시’, 반면 돈이 들어오는 시점은 수개월 후다.

그래서 자금 흐름을 설계하지 않으면 첫 해 중반부터 현금이 마르기 시작한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귀농인의 패턴에 맞춰 월별 예상 지출과 수입 항목, 그리고 자금 흐름표 구성 방법까지 알려드린다.


자금 흐름표를 만들기 전에 필요한 기본 구분

자금 흐름은 크게 3가지로 나눠야 한다.

항목 내용
① 생활비 주거비, 식비, 차량유지비, 교육비 등
② 영농비 종자, 비료, 농기계 연료, 외주 인건비 등
③ 비상비 병해충 피해, 장비 고장, 건강 문제 등 예상 외 지출
팁 : 이 셋을 섞어 관리하면 ‘돈이 남는지 마이너스인지’조차 헷갈린다. 계좌를 따로 만들거나, 엑셀 시트라도 구분해야 한다.
 

월별 자금 흐름의 일반적 패턴

초보 귀농인의 가장 일반적인 흐름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주요 활동 예상 지출 예상 수입
1월 계획 수립, 씨앗 주문 종자, 장비 정비, 난방비 없음
2월 비닐하우스 준비, 토양 개량 비료, 시설비 없음
3월 파종 시작, 모종 정식 모종 구입비, 외주 인건비 없음
4월 초기 작물 생육 물, 비료, 농자재 없음
5월 병해충 방제, 하우스 관리 방제비, 노동비 일부 직거래 수입
6월 첫 수확, 직거래 시작 수확용 포장비, 배송비 직거래 수입
7월 여름 작물 수확 냉장보관비, 유통비 직거래 + 마켓몰
8월 여름 작물 마무리 잡비, 차량유지비 수입 일정 감소
9월 가을작물 파종 종자, 퇴비, 농기계 연료 없음
10월 가을 수확 준비 병해충 방제, 외주비 직거래 가능
11월 수확 본격화 포장, 택배비, 인건비 최대 수익 시기
12월 정산, 계획 난방비, 연말 비용 일부 잔여 수입
※ 총평
  • 1~4월준비만 하고 수입은 없음
  • 6~7월, 11월첫 수확으로 소규모 수입 발생
  • 현금 유동성이 부족한 건 대부분 5~8월, 10월 초
반응형

실제 귀농자금 흐름표 예시 (단기 작물 기준)

엽채류+열무 재배 (300평 기준)

구분 항목 금액 () 시기
생활비 월세·공과금 500,000 매월
생활비 식비·차량비 700,000 매월
영농비 종자/모종비 600,000 1~3월
영농비 비료·퇴비 300,000 2~4월
영농비 농기계 연료 200,000 3~11월
영농비 포장자재·택배비 300,000 6~11월
영농비 외주 인건비 800,000 5~11월 (분할)
비상비 장비 고장 수리비 400,000 6월
수입 로컬푸드 판매 -2,000,000 6~7월
수입 온라인 직거래 -2,000,000 10~11월
※ 결과

지출 총액 약 7,000,000원
수입 총액 약 4,500,000원
➜ 연말 잔액 -2,500,000원

 

이걸 통해 1년차엔 수익보다 ‘지출 예측’이 핵심임을 확인할 수 있다.


자금 흐름표 만들기 3단계

① 전체 예산을 항목별로 나눈다

  • 생활비 / 영농비 / 비상비를 3개 시트로 분리

② 월별 고정 지출을 먼저 기입

  • 월세, 차량, 보험, 식비 등 매월 반복되는 항목

③ 작물별 파종-수확 주기에 따라 지출/수입 분배

  • 파종 : 종자비/모종비
  • 생육 : 비료, 농약
  • 수확 : 포장, 인건비
  • 판매 : 배송비, 거래처 비용

유동성 위기를 막는 현실적인 팁

✔️ 생활비 통장은 따로 관리한다
✔️ 예상치 못한 지출은 반드시 예산에 포함한다 (장비 고장, 병충해, 건강 문제 등)
✔️ 1년차에는 자금 유보율 20% 확보 (예산의 20%는 건들지 않기)
✔️ 매월 자금흐름표를 수정하면서 현실에 맞춰 반영
✔️ 가능하면 3개월 단위로 ‘자금 흐름 리포트’를 스스로 작성


귀농 1년차는 '생존을 위한 회계 연습장'이다

귀농 첫 해는 돈이 남느냐 마느냐보다, 흐름을 파악하고 계획을 유지하느냐가 핵심이다.

수익은 늘 일정치 않지만 지출은 매달 일정하게 나간다.
이 현실을 모르면 대출이 있어도 무너지고, 이 현실을 알면 자금이 없어도 살아남는다.

※ 귀농 첫해를 버텨낸 사람이 둘째 해엔 수익을 남긴다.

 

 

 

귀농하기 좋은 지역 TOP 7 : 지원금, 주거, 창업 혜택 정리

2025년 귀농을 계획 중이라면 지역 선택이 핵심입니다. 지역별 귀농 지원금, 주택·농지 혜택, 청년 귀농 우대 정책까지 비교 분석해 가장 유리한 지역을 찾을 수 있도록 완벽 가이드합니다. 지역

sanisanee.co.kr

 

 

귀농 교육 100시간 완벽 가이드 : 이수 조건부터 온라인 강의까지

귀농 창업자금이나 정착지원금을 받으려면 필수로 이수해야 하는 귀농 교육 100시간! 어디서 어떻게 들어야 하고, 온라인 강의는 가능한지, 빠르게 수강하는 팁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귀

sanisanee.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