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 후 수익을 높이는 현실적인 방법은 부가가공입니다. 절임, 건조, 분말, 잼 등 소규모로 시작할 수 있는 가공 아이템과 준비 과정, 판매 채널까지 실전 전략을 안내합니다.
작물을 그냥 팔지 마세요. 가공이라는 손길이 가격과 고객을 바꿉니다.

이번 글은 “귀농 부가가공 품목 개발 아이디어”를 주제로, 단순히 작물을 재배해 파는 것을 넘어 가공 → 부가가치 창출 → 고수익 구조 전환까지 이어지는 전략을 소개합니다.
‘부가가공’은 귀농의 수익구조를 완전히 바꿀 수 있는 무기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보 귀농인도 시작할 수 있는 소규모 가공 아이템, 아이디어, 준비과정, 판매까지 상세하게 정리합니다.
“똑같은 작물로 3배 더 벌 수 있는 법, 가공에서 시작된다.”
귀농 후 농사를 짓다 보면 이런 고민이 생긴다.
“힘들게 키워도 너무 싸게 판다.”
“도매로 넘기면 남는 게 없다.”
“같은 작물을 남들은 더 비싸게 판다.”
이 문제의 해답은 ‘부가가공’이다.
즉, 작물에 손을 한 번 더 얹는 것만으로 가격, 시장, 고객이 완전히 바뀐다.
지금부터 소규모 귀농인이 실현 가능한 현실적 부가가공 품목과 전략을 소개한다.
부가가공의 3가지 핵심 가치
| 가치 | 설명 | 결과 |
| 가격 전환 | 원물 대비 2~4배 수익 | 고정비 회수 가능 |
| 보관 기간 증가 | 생물 → 가공 → 유통기간 확보 | 폐기율 ↓ |
| 고객층 확대 | 생과소비자 → 가공제품 소비자 | 시장 규모 확대 |

부가가공 유형별 아이디어
① 절임·장아찌류
| 작물 | 가공 예시 |
| 깻잎 | 깻잎 장아찌, 들기름 절임 |
| 마늘 | 초절임, 간장장아찌 |
| 고추 | 고추지, 피클 |
② 건조·말림류
| 작물 | 가공 예시 |
| 고구마 | 고구마 말랭이, 큐브말랭이 |
| 오디 | 오디 건조칩 |
| 감 | 반건시, 감말랭이 |
③ 분말·가루
| 작물 | 가공 예시 |
| 우엉 | 우엉분말, 환 |
| 도라지 | 도라지분말, 즙 |
| 비트 | 비트분말, 천연색소 활용 |
④ 잼·청류
| 작물 | 가공 예시 |
| 블루베리 | 잼, 발효청, 시럽 |
| 매실 | 매실청, 매실장아찌 |
| 딸기 | 딸기잼, 딸기청, 퓨레 |
⑤ 음료·발효식품류
| 작물 | 가공 예시 |
| 배 | 배즙, 숙성배청 |
| 생강 | 생강청, 생강차 |
| 오미자 | 오미자원액, 발효주 |
귀농 부가가공 준비 체크리스트
| 항목 | 설명 |
| 위생시설 확보 | 공동가공센터 or 마을 HACCP 설비 활용 |
| 식품제조·가공업 신고 | 시·군 보건소에 사전신고 필요 |
| 포장·유통기한 표시 | 상품명, 성분표, 유통기한 표시 의무 |
| 소규모 실험 → 소량생산 | 처음부터 대량 생산 NO |
| SNS·블로그 활용 | 과정 기록 → 마케팅 소재로 활용 가능 |
※ 귀농인 지원센터 또는 농업기술센터에서 ‘가공창업 교육’ 제공
부가가공 판매 전략
| 채널 | 특징 | 적합 품목 |
| 로컬푸드 | 직접 판매, 시식 가능 | 절임류, 청류, 말랭이 |
| SNS 직거래 | 신뢰 기반 단골 확보 | 청류, 잼류, 분말 |
| 스마트스토어 | 결제·배송 연동 | 소포장 건조식품 |
| 마켓컬리·정기배송 | 프리미엄 시장 진입 | 병 포장 발효식품 |
| 공동브랜드 | 조합 브랜드로 진입 | 표준 패키징 가공품 |

성공한 귀농 가공 아이템 사례
강원도 정선 / 40대 귀농 여성 / 고구마 말랭이
- 1년차 : 고구마 500kg → 생물로 출하
- 2년차 : 말랭이 가공 시작
- 가공기 구매 없이 마을 공동건조기 활용
- 네이버 스토어 / SNS / 오프라인 직거래 병행
- 월 평균 매출 : 130만원 → 390만원 상승
작은 가공부터 시작하라: “가공 스타터 패키지 5종”
| 아이템 | 소요 자본 | 시작 팁 |
| 깻잎장아찌 | 약 30만원 | 대용량 간장+병소분 |
| 고구마말랭이 | 약 50만원 | 공동건조기 필수 |
| 블루베리청 | 약 40만원 | 생과 손질 후 당 비율 숙성 |
| 우엉분말 | 약 50만원 | 세척+건조+분쇄기 이용 |
| 도라지환 | 약 70만원 | 말리기+환 제조기 필요 |
부가가공 실패 방지 팁
- 무조건 많은 가공 품목 만들지 말기
: 소량 생산 → 반응 체크 → 확대 - 장기 보관이 안 되는 품목부터 시작하지 말기
: 건조, 절임, 청류부터 시작 - 가공만 하고 판매 계획 없는 구조
: 가공 → 포장 → SNS/블로그 연동 → 판매 채널 확보 순서
‘손 한번 더 얹는’ 귀농이 수익을 만든다
귀농 후 단순 재배만으로 수익을 내는 건 어렵다.
하지만 가공이라는 한 번의 손길로 작물은 브랜드가 되고, 상품이 되고, 수익 구조로 바뀐다.
지금 가장 좋은 아이템은 이미 내가 키우고 있는 그 작물이다.
작은 아이디어와 실행만 있으면 된다.
부가가공은 귀농의 생존 전략이자, 미래 성장 동력이다.
귀농 융자 상환 조건, 금리, 보증금까지 2025년 최신 디테일 정리
2025년 기준 귀농융자의 금리(2.0%), 상환 기간, 보증 조건, 신청 자격, 절차를 공공기관 자료를 바탕으로 정확히 정리했습니다. 귀농을 준비하는 분들에게 실제 도움이 되는 현실 가이드입니다. 귀
sanisanee.co.kr
서울 근교 산림욕 단풍 명소 추천 : 가을 향기 따라 걷는 힐링 숲길 여행
서울 근교에서 즐기는 단풍 명소와 산림욕장 5곳! 국립수목원, 서울대공원 산림욕장, 축령산, 쉬자파크, 청계산까지 교통·코스·포토존 완벽 정리. 가을 단풍 산책길 BEST 5 : 서울 근교 산림욕 명
sanisanee.co.kr
'A Daily Rout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귀농 공동판매·협동조합 활용 전략 (0) | 2025.11.24 |
|---|---|
| 귀농 마케팅 시작하기 : 블로그, SNS, 쇼핑몰 입점 전략 (0) | 2025.11.22 |
| 귀농 작물 유통·판매처 확보 전략 : 로컬푸드부터 온라인까지 (2) | 2025.11.21 |
| 귀농 2년차 작물 다각화 전략 : 1+2 작물 전략으로 리스크 분산하는 법 (0) | 2025.11.20 |
| 귀농 정착 후 1년차 월별 자금 흐름표 만들기 (2) | 2025.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