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원디자인 식물2 [정원식물 50선] 담곽향 : 향으로 공간을 채우는 그늘 정원의 자생 초본 은은한 향기와 연보랏빛 꽃이 매력적인 담곽향은 음지에서도 잘 자라는 자생식물이다. 자연주의 정원, 향기 식재, 생태 경계에 적합한 숙근초로 활용법과 꽃말까지 정리했다. 담곽향, 그늘을 향으로 채우는 자생식물, 정원의 부드러운 흐름 한여름 그늘 아래,연보랏빛 입술 모양의 꽃들이 가느다란 줄기 끝에서 물결치듯 피어난다.향기와 색, 그리고 자연스러운 줄기의 흐름까지…오늘 소개할 식물은 한국 자생 초본 중에서도 정원 식재로 차분한 감성과 생태적 구조를 더해주는 식물, 담곽향이다. 담곽향의 기본 정보학명 : Isodon inflexus과명 : 꿀풀과 (Lamiaceae)형태 : 여러해살이풀 / 숙근초 / 자생 초본분포 : 한국 전역, 중국, 일본 등 / 국내 숲 가장자리 자생크기 : 높이 약 50~100cm /.. 2025. 7. 3. [정원식물 50선] 털수염풀 : 바람과 시간의 흐름을 담는 가을 정원 그라스 가을 정원의 움직임을 디자인하는 털수염풀! 바람에 흔들리는 수염 모양 꽃차례로 자연주의 정원에 생동감을 불어넣는다. 생육 환경, 조경 활용법, 꽃말과 식재 팁까지 완전 정리! 털수염풀, 바람에 춤추는 가을빛 실루엣, 정원의 선을 디자인하다 조용한 가을 정원.바람이 스칠 때마다 하늘거리는 얇은 줄기 위로 수염처럼 흩날리는 꽃차례가 시선을 잡아끈다.오늘 소개할 식물은 바로 털수염풀이다.은은한 존재감으로 정원의 배경과 중심을 동시에 책임지는 이 식물은 자연주의 정원·초지원·경계부 식재에 탁월하며,조형적 가치와 생태적 기능을 고루 갖춘 디자이너형 그라스로 주목받고 있다. 털수염풀의 기본 정보학명 : Pennisetum alopecuroides과명 : 벼과 (Poaceae)형태 : 여러해살이풀 / 숙근성 초본원.. 2025. 6. 2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