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경영계획서 작성법 총정리 : 귀농 창업자금 필수 문서 가이드
귀농 지원금을 받기 위해 꼭 제출해야 하는 농업경영계획서! 작목 선택부터 수익 계획, 자금 사용까지 항목별 작성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심사에서 통과하는 전략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귀농 지원금 심사 통과하려면 반드시 알아야 할 농업경영계획서 작성법
그냥 농사만 짓겠다고요? 그럼 정부는 지원 안 해줍니다
귀농을 준비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하는 착각.
“내가 농사 짓겠다는데 왜 계획서를 내야 하죠?”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정부는 수천만 원, 많게는 수억 원의 지원금을 주기 전에 반드시 확인한다.
- 이 사람이 귀농에 진심인지
- 현실적인 수익계획을 세웠는지
- 실패하지 않고 정착할 수 있을지
이 모든 걸 보여주는 게 바로 농업경영계획서다.
귀농창업자금(최대 3억), 청년 농업인 정착지원금, 주택자금 등을 신청하려면
무조건 이 문서를 제출해야 하고,
심사에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기준이기도 하다.
오늘은 실패하지 않는 농업경영계획서를 쓰는 방법,
- 항목별 작성 팁
- 절대 빠지면 안 되는 내용
- 심사위원이 좋아하는 포인트
- 서식 다운로드 경로까지
전부 상세하게 정리해본다.
농업경영계획서란 무엇인가?
귀농을 진짜 ‘사업’으로 만들 수 있는 설계도
농업경영계획서는 말 그대로,
귀농 후 어떤 작목을 선택해 어떻게 수익을 내고,
어떻게 정착하겠다는 전체적인 경영 전략을 담은 문서다.
※ 제출 대상
- 귀농창업자금 신청자
- 청년 농업인 정착 지원금 신청자
- 지자체 귀농지원사업 참여자
※ 목적
- 농업 실행 계획과 수익 가능성 입증
- 자금 사용 계획과 상환 능력 증빙
- 귀농 이후 안정적인 정착 가능성 평가
경영계획서에 꼭 들어가야 할 항목
빠지면 탈락 위험! 꼭 포함해야 할 기본 구성
- 개요 (신청자 정보 + 귀농 동기)
- 사업 아이템 개요 (작목 선정 이유, 차별성)
- 농지 현황 및 확보 계획
- 시설 및 장비 확보 계획
- 생산 계획 (재배 방식, 연간 작형 등)
- 마케팅/판매 계획 (판로, 계약재배 여부)
- 예상 소득 및 지출 내역
- 자금 조달 계획 (자기자본 + 대출 사용 계획)
- 위험요소 및 대처방안
- 향후 성장 전략 및 목표
※ 보통 A4 기준 8~15페이지 분량
※ 양식은 지자체/농정청/귀농귀촌종합센터에서 제공
항목별 작성 팁 : 심사위원이 실제로 좋아하는 표현과 구체성
① 귀농 동기
- 막연한 동기 X → 구체적인 계기와 목적 필요
❌ “자연이 좋아서 귀농을 결심함”
✅ “도시생활 10년 간 느낀 스트레스를 줄이고, 청년농으로 자립하고자 귀농 결심”
② 작목 선정 이유
- 지역 기후와의 적합성 언급
- 수요, 경쟁 상황까지 분석
✅ “이 지역은 연간 강수량과 일조량이 블루베리 재배에 최적화되어 있음”
✅ “경쟁 농가가 적고, 관광객 대상 로컬 판매 가능성 있음”
③ 판로 확보 전략
- 계약재배, 로컬푸드 직판, 온라인 판매 등 구체화
✅ “지역 학교 급식 공급 계약 협의 중”
✅ “쿠팡 마켓플러스 등록 예정, 인스타그램 DM 주문 대응 가능”
④ 수익 예측
- 작년 도매가, 평당 수확량 기준으로 정량적 추정
✅ “1,000평 기준, kg당 2,000원, 예상 수확량 4,000kg → 연 수익 800만 원”
⑤ 자금 계획
- 자기자본 + 창업자금 활용 비율 구체화
✅ “총 사업비 1억 2천만 원 중, 자기자본 2천만 원 + 창업자금 1억 원 사용 계획”
실전 작성 예시 요약
- 귀농 동기 : 서울에서 10년간 디자인 업계에 종사하다 정신적 번아웃을 겪고, 자연 친화적인 삶을 찾기 위해 강원도 평창으로 귀농을 결심. 기존 기술을 활용해 로컬 농산물 패키지 브랜딩 및 온라인 판매까지 연계 계획.
- 작목 및 계획 : 고랭지 여건에 맞는 고추/감자/열무 중심 복합 재배 하반기에는 표고버섯 하우스 추가 예정
- 판매 전략 : 지역 로컬푸드 협동조합 출하 + SNS 공동구매 채널 운영 관광객 대상 체험농장 + 수확체험 패키지 운영
- 수익 계획 : 연 3천만 원 수익 목표 (2년차 기준) 5년 내 스마트팜 전환 및 청년농부 멘토링 전환 예정
자주 묻는 질문 (FAQ)
Q. 작목은 꼭 한 가지만 써야 하나요?
→ 아니요. 복합작목도 가능하지만, 기준은 ‘현실성’입니다.
관리 가능 여부, 장비 겹침 여부, 노동력 고려가 중요.
Q. 직장 다니면서 겸업 계획도 작성해도 되나요?
→ 가능은 하지만 지원 자금은 전업농 기준이 우선 평가됩니다.
겸업은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으니, 전업 계획 중심으로 작성하세요.
Q. 컨설팅 업체에 맡겨도 되나요?
→ 가능하나, 내용 이해가 안 되면 면접에서 탈락 확률 매우 높습니다.
반드시 본인이 이해하고 준비해야 합니다.
Q. 농지 확보 전에도 계획서 제출 가능한가요?
→ 계획만 있다면 가능하지만, 임대계약서 사본 첨부 시 가산점 있음.
서식 다운로드 경로
어디서 작성 양식을 구할 수 있나요?
- 귀농귀촌종합센터 : https://www.returnfarm.com
→ 자료실 > 지원사업 양식 - 농림축산식품부 : https://www.mafra.go.kr
→ 공지사항 > 귀농자금 신청서식 - 지자체 농업기술센터
→ 방문 or 전화 문의 시 PDF 제공
마무리 : ‘감’이 아닌 ‘계획’이 성공을 만든다
귀농은 감성적인 선택일 수 있다.
하지만 실패 없는 귀농은 감성이 아닌
‘숫자’와 ‘전략’이 만든다.
농업경영계획서는 단순한 문서가 아니다.
귀농 이후 1년, 3년, 5년을 상상하게 만드는 로드맵이다.
이 문서 하나가
- 정부 자금 승인
- 지역 주민 신뢰 확보
- 자신감 있는 출발
을 가능하게 만든다.
지금 이 글을 읽는 당신이라면,
아직 늦지 않았다.
지금부터 한 줄씩, 진짜 내 농사의 설계도를 만들어보자.
2025 귀농 창업자금 지원 총정리 : 최대 3억까지 조건과 절차
귀농 창업자금 최대 3억 원까지 지원! 신청 조건, 자격 요건, 금리, 상환 방식, 계획서 작성 방법까지 귀농을 위한 모든 정보를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귀농으로 창업 준비 중이라면 이 글은 무조
sanisanee.co.kr
귀농·귀촌 지원금 제도 총정리 (2025년 최신 업데이트)
귀농이나 귀촌을 준비 중이라면 정부의 다양한 지원금 제도를 확인하세요. 창업자금부터 주택자금, 청년 정착금까지 최대 3억 원 이상의 지원이 가능합니다. 조건, 신청 방법, 혜택을 상세히 안
sanisanee.co.kr